’수능 1위 우리라니까‘ 대형 인강업체 광고 문구 소송전

’수능 1위 우리라니까‘ 대형 인강업체 광고 문구 소송전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5-12-03 14:13
업데이트 2015-12-03 14: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능 1위’라는 광고 문구를 놓고 한 해 매출이 수백억 원에 달하는 대형 인터넷 강의업체 사이에 법정 다툼이 벌어졌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수석부장 김용대)는 사교육업체 이투스교육이 현현교육(스카이에듀)을 상대로 낸 광고금지 가처분에서 “피고의 ‘수능 1위’ 문구 등의 사용을 금지한다”고 결정했다고 3일 밝혔다.

스카이에듀는 정식 소송에서 이기지 않는 한 ‘수능 1위’ 문구를 인터넷 강의 웹사이트는 물론 신문, 방송, 라디오, 인쇄물, 옥외광고 등에서 쓸 수 없다.

온·오프라인 대입 강의를 하는 스카이에듀는 ‘수능 1위’ 업체라고 웹사이트 등에 광고했다. ‘14년 만에 바뀐 수능 1위’ 등의 문구도 썼다.

이투스는 매출이나 학생 수로 볼때 자사가 규모가 더 큰데도 스카이에듀가 거짓 광고로 수험생을 유혹하고 있다며 수능을 한 달 앞둔 10월 초 소송을 냈다.

스카이에듀는 한 통계조사 업체의 자료를 제시하며 ‘1위’ 광고가 거짓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자료에는 스카이에듀 웹사이트가 올해 1월과 8월 업계에서 가장 방문자가 많은 곳이었다고 분석했다.

재판부는 “스카이에듀 광고는 소비자 선택을 왜곡할 가능성이 있는 기만적인 광고”라며 “업계의 경쟁양상 등에 비춰 이투스의 영업이익이 침해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해당 광고 문구를 써서는 안 된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이어 “1위 표현이라는 표현이 쓰일 때 소비자는 소비자는 매출액, 시장점유율, 유료고객수 등을 기준으로 1위라고 받아들이는 게 통례”라면서 “피고는 이런 기준에서 업계 1위라는 사실을 소명할 자료를 제출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시했다.

인터넷 강의 시장이 수천억 원대 규모로 성장하며 업체 간 법정 다툼도 늘고 있다. 한 해 개인 매출이 100억원이 넘는 수학 강사 ‘삽자루’ 등을 빼갔다며 경쟁업체들이 벌이는 소송도 현재 서울고법에서 항소심을 진행하고 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