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혈 인공관절수술, 감염 우려 적고 예후도 좋다”

“무수혈 인공관절수술, 감염 우려 적고 예후도 좋다”

입력 2015-12-03 14:19
업데이트 2015-12-03 1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인공관절 수술을 할 때는 수혈이 기본이었다. 수술 중 실혈(失血)이 불가피해 최소한의 혈액을 보충해줘야 했던 것. 그러다 최근 들어 무수혈 수술이 큰 흐름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나 정작 환자들은 실혈에 따른 빈혈과 더딘 회복 등을 우려했던 것도 사실이다.
 이런 가운데 무수혈 인공관절수술(사진)이 환자의 예후에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발열·오한·무력감 등 수혈 부작용은 물론 수혈로 인한 감염 위험까지 줄일 수 있다는 임상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 바른세상병원 관절센터 경봉수 원장(정형외과 전문의)팀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이 병원에서 수혈 없이 양측 무릎에 동시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한 환자 72명의 경과를 추적 관찰한 결과, 한 건의 빈혈도 관찰되지 않았다고 3일 밝혔다.
 특히, 연구팀은 무수혈 수술을 받은 72명의 환자 모두가 수술 2주 경과 후 수혈이 필요한 조건인 헤모글로빈(혈색소) 수치 7을 훨씬 상회하는 10~14를 보여 무수혈 인공관절 수술에 대한 안정성을 입증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양측 동시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받은 72명의 환자들에게 주사로 철분을 투여하거나 수술 중 관절 내에 지혈제를 주사한 뒤 2주에 걸쳐 매일 환자의 경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수술 전 13.12이던 혈색소 수치가 수술 1일 후에는 11.4, 6일 후에는 9.92, 13일 후에는 10.45로 각각 측정됐다. 의료진은 “모든 환자의 혈색소 수치가 수혈 기준치인 7을 훨씬 상회해 안정적인 상태를 보였다”면서 “이는 무수혈로 양 무릎 인공관절수술을 시행해도 안전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헤모글로진 수치 따져 무수혈 여부 결정
 하지만, 모든 환자들에게 무수혈 수술을 적용할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성인의 평균 헤모글로빈 수치는 13~15g/dL 정도. 질병관리본부는 혈중 헤모글로빈 수치가 7g/dL 이하일 때 수혈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즉, 수술 전 7g/dL 이상의 헤모글로빈 수치가 유지된다면 굳이 수혈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의료진이 무수혈 수술을 결정하면 체내에서 적혈구가 잘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 수술 전에 환자에게 조혈제와 헤모글로빈 수치를 올리는 철분제를 투여한다. 이어 수술 중 실혈로 줄어든 용량만큼을 수액으로 보충하는데, 이 때 수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한적인 수혈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인공관절수술에서 최소수혈 또는 무수혈 수술이 가능해진 것은 철분주사제의 발달로 인한 수혈 필요성의 감소와 수술 기술의 발달 때문이다. 인공관절 수술의 경우 최소한의 절개만으로도 수술이 가능해 수술시간이 예전에 비해 크게 줄었다.
 과거의 경우, 무릎 인공관절수술을 하려면 15~20cm가량을 절개해야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10~12cm의 절개만으로도 충분히 수술이 가능하다. 대략 2~3시간 걸리던 시간도 1~1시간 30분 이내로 단축됐다. 절개 부위가 작아지고 수술 시간이 짧아지면서 당연히 출혈량도 많지 않아 수혈을 최소화 하거나 아예 수혈 없이 수술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최소절개 수술의 경우는 근육과 인대 손상 또한 적어 회복도 빠르다.
 경봉수 원장은 “실제 임상적으로 무수혈 인공관절수술을 받은 환자와 의료진 모두 수술 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면서 “ 자기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이 잘 유지돼 부작용이 적고, 면역력과 체력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이 무수혈 인공관절 수술의 가장 큰 이점”이라고 말했다.
 
 ◆무수혈 수술이 좋은 이유
 수혈은 출혈이 많은 환자들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중요한 치료 수단으로 근 1세기 이상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수혈의 부작용 또한 지속적으로 보고된 것이 사실이다.
 지난해 질병관리본부 국정감사에서 지난 3년간 수혈 이상 반응이 3배나 증가한 사실이 보고되기도 했다. 수혈 후 이상반응 보고가 2011년 409건에서 지난해 1249건으로 늘어난 것이다.
 수혈 후 나타나는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비용혈성 발열성 수혈부작용, 알레르기반응, 혈소판 불응증, 거대세포바이러스감염 등을 들 수 있다. 후천성면역결핍증으로 잘 알려진 AIDS 또한 수혈 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감염 부작용이라 할 수 있다.
 이같은 수혈 부작용은 무수혈 수술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했고,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지난 1957년 무수혈 수술에 최초로 성공했으며, 국내에서도 1987년 첫 무수혈 수술이 이뤄졌다.
 이번의 임상연구를 진행한 경봉수 원장은 “여전히 대다수의 수술은 수혈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수혈은 여전히 중요한 치료방법이지만 최근에는 무수혈 수술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무수혈 인공관절 수술
 지금까지 인공관절 수술을 할 때는 수혈이 대세였다. 전문의들에 따르면 이같은 수혈 방식은 의료 현장의 관행에 기인하거나 환자들이 수혈 부작용과 위험성을 제대로 알지 못한데 원인이 있다. 최소수혈이나 무수혈 수술의 사례가 많지 않고, 임상 데이터가 충분하지 못한 것도 한 요인이었다.
 통상 수혈을 할 때는 혈액형 뿐 아니라 10여 가지의 검사를 거쳐 적합한 혈액을 찾는다. 하지만, 아무리 잘 고른 혈액도 막상 남의 몸에 들어가면 크고 작은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 인공관절수술 과정에서 수혈을 받은 환자들이 흔히 발열·오한·저혈압·구토·두드러기·무기력감 등 크고 작은 불편과 부작용을 호소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고령 인공관절 환자가 늘어나면서 무수혈 방식이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내 무릎인공관절수술은 2009년 4만 7000여 건이던 것이 2010년에는 5만 3000여 건으로 크게 늘었으며, 이 중 60~70대가 80%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인공관절수술을 받는 환자들 대부분이 고령이어서 젊은 환자들에 비해 신체 면역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혈액순환 장애 등 수혈 부작용에 시달릴 가능성이 크고, 수술 후 회복도 더디다. 이 때문에 고령 환자일수록 무수혈 수술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의들의 견해다.
 하지만 고령자의 인공관절수술에서 무수혈 및 최소수혈 방식이 완전히 정착되기 위해서는 선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환자 상태에 따라 수술시간이 길어지거나 합병증 예방과 회복을 위해 수술 후 수혈이 필요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어 철저한 사전 검사가 필요하고, 환자 관리에도 더 세심해야 한다. 또 최소절개 수술의 지속적 발전과 확대, 병원마다 천차만별인 재활시스템도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