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아라호 드디어 매각되나…우선협상 기업 선정

한강 아라호 드디어 매각되나…우선협상 기업 선정

입력 2015-12-04 15:15
수정 2015-12-04 15: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더&코리아 “하루 2천명 이상 유커 모객할 것”

건조 후 5년째 제대로 운항하지 못한 한강 아라호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 업체가 선정됐다.

문화기업 ‘더&코리아’는 서울시 한강사업본부가 지난달 26일부터 7일간 진행한 아라호 매입자 모집에 단독으로 응모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서울시는 세부 검토 후 더&코리아를 최종 사업자로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더&코리아는 한국 내 중국관광객 모객에 상당한 역량이 있는 5개 여행사와 업무제휴 협약을 해 하루 2천명 이상의 유커를 대상으로 아라호를 운항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공연선박의 매력을 살려 공연관람부터 디너쇼, 선상웨딩, 기업 행사, 영화 관람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주용 더&코리아 대표는 “5년간 유찰로 정박돼 예산만 낭비되던 아라호가 새 주인을 만나 공연선의 역할을 100% 이상 발휘하고 한국의 명물이 될 수 있게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라호는 2010년 건조된 이래 약 1년간 20여 회 시범운항을 했지만 유람선 요금 책정 등 사업 타당성 문제가 제기돼 2012년 매각이 결정됐다.

이후 서울시는 2013년 5월 106억원의 예정가격으로 매각 입찰에 나섰지만 계속 유찰됐고, 4차 매각에선 90억원까지 금액을 낮췄음에도 매각하지 못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