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내일 서울도심 집회에 ‘긴장’…“준법 집회해야”

경찰, 내일 서울도심 집회에 ‘긴장’…“준법 집회해야”

입력 2015-12-04 17:36
수정 2015-12-04 17: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와대·조계사 쪽 행진 시도, 장시간 연좌는 ‘불법’ 간주 현장검거한상균, 조계사서 나오면 호위대 있더라도 적극적 검거키로

경찰이 118개 진보성향 단체의 연합체인 ‘백남기 범국민대책위’가 5일 오후 서울 도심에서 열기로 한 대규모 집회를 하루 앞두고 바짝 긴장하고 있다.

애초 이 집회는 경찰이 폭력시위 변질 우려로 금지했지만, 이 처분이 부당하다는 법원 결정에 따라 다시 열리게 됐다.

이에 따라 지난달 14일 1차 민중총궐기 때 불법시위를 주도·기획한 것으로 의심되는 민주노총과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등이 대거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 경찰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다.

경찰은 일단 집회 주최 측이 수차례 ‘평화적 집회·시위’를 강조한 것에 기대를 걸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주최 측이 평화적으로 행사를 하겠다고 한 만큼 준법으로 개최되기를 바라며, 준법 집회·시위는 최대한 보장·보호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주최 측이 서울광장에서 7천명이 모이겠다고 집회를 신고했지만, 이를 훌쩍 넘길 것이라는 게 주최 측(5만명)이나 경찰(1만5천명)의 공통된 예상이다. 광장을 벗어나 도로까지 집회 참가자가 운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경찰은 서울광장 서쪽 세종대로에 폴리스라인을 설치해 시민의 안전과 통행을 보장하면서, 필요할 경우 광장 남쪽의 플라자호텔 앞 도로를 차례로 내주면서 원활한 행사 진행을 도울 방침이다.

문제는 집회 후 행진이다. 서울광장을 출발해 무교로·모전교·청계남로·광교·보신각·종로 2∼5가·대학로·서울대병원 후문까지 3.5㎞ 구간이 신고된 행진코스이지만 일부 시위대가 이탈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게 경찰의 판단이다.

경찰은 참가자들이 행진 도중 잠시 지정 코스(2개 차로)를 약간 벗어나는 수준은 용인하겠지만, 아예 정해진 구간을 벗어나는 행위에 대해서는 ‘불법’으로 간주하고 엄정 대응할 방침이다.

즉 ‘평화행진’임을 내세우며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이 은신한 조계사 쪽으로 행진하는 행위, 장시간 도로에 앉거나 눕는 행위 등에 대해서는 곧바로 차단하고 해산 경고 등 절차를 거쳐 현장 검거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세종대로나 광화문광장 쪽으로 진출해 청와대로 행진하려는 기미가 보이면 유·무인 폴리스라인과 진압 경찰력 배치로 적극적으로 차단할 방침이다.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가면 차벽도 설치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복면을 착용하고 차벽을 부수거나 경찰관을 폭행하는 행위가 발생하면 물감을 살포한 뒤 검거 전담부대를 투입해 현장 검거 위주의 작전을 펼친다는게 경찰의 복안이다.

경찰은 살수차 활용은 최대한 피할 방침이지만 과격·폭력 행위가 재연되면 어쩔 수 없이 활용하기로 했다. 집회 장소 주변에 경찰관기동대·의경부대 225개 중대 2만여명을 배치하고, 살수차도 18대를 대기시킬 계획이다.

그나마 경찰 입장에서 다행인 점은 전농이 비슷한 시간 광화문광장에서 개최하기로 한 ‘백남기 농민 쾌유 기원 문화제’를 취소했다는 점이다. 경찰은 문화제가 집회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대비를 해왔다.

이와 함께 경찰은 대규모 집회·행진으로 인한 도심 혼잡을 틈타 한 위원장이 조계사에서 나와 집회에 참석하거나 다른 장소로 은신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경찰은 한 위원장이 조계사에서 나오면 지난달 14일 집회 때처럼 ‘호위대’가 그의 주변을 둘러싸더라도 적극적으로 작전을 펼쳐 검거한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