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기후변화실장 “파리 합의 낙관…좋은 미래 기대”

독일 기후변화실장 “파리 합의 낙관…좋은 미래 기대”

입력 2015-12-06 12:09
업데이트 2015-12-06 1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온실가스 감축, 시작이 중요”…한국 ‘신기술 지원’ 등 환경정책 조언

“이번 총회에서는 훌륭하고 의욕적인 ‘파리 합의문’을 만들어 우리 모두를 좋은 미래로 이끌어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독일의 프랑크 요셉 샤프하우젠(66) 국제협력·기후변화 총괄실장은 4일(현지시간) 파리에서 진행된 한국 취재진과의 공동인터뷰에서 “이번 총회는 기후변화 대응 메커니즘을 만든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기여방안·INDC)와 관련, “현재 방안으로는 ‘지구 온도 상승 2도 억제’ 목표를 달성할 수 없겠지만 일단 제일 중요한 것은 절차를 시작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렇기 때문에 독일과 유럽연합(EU)은 더 의욕적인 내용을 기대한다”며 “5년 주기로 목표를 점검할 것을 제안하며, 감축·적응·기술이전 등의 내용도 합의문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파리 유엔기후변화협약 제21차 당사국총회에서는 196개 참가국 중 185개국이 감축목표를 제출했다. 각국의 계획을 합하면 지구 평균온도의 2.7∼3도 상승 억제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감축목표 이행과 관련해선 “법적 구속력이 있는 합의문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반면, 미국과 우리나라 등은 국제법적 구속력 부여보다 자발적 이행과 참여 확대가 더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독일은 기후변화 대응에서도 앞서나가는 선진국이다. 2020년까지 온실가스를 1990년 대비 40% 줄이는 ‘2020 기후보호행동 프로그램’을 지난해 채택했다. 에너지 효율 개선,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에도 적극적이다.

아울러 2020년까지 녹색기후기금(GCF) 재원 기여를 2배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내년 3월에는 탄소시장 운영과 관련해 ‘탄소가격 측정’ 회의를 인도·브라질·멕시코와 열 예정이다.

그는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정책에 대해 “실질적인 감축을 유도하기 위해 더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게 좋다”며 창의적인 신기술 개발 지원, 인센티브 제공, 배출권거래제 확대 등을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