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교육청별 교사 배정 방식이 바뀌면서 일선 교육현장은 교원 정원이 늘어날지 줄어들지 가늠하지 못하며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학생 수가 증가하는 경기도만 교원 정원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될 뿐 나머지 시도는 새 방식이 적용되면 교원 정원이 어떻게 변화할지 예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0일 광주·전남 시도교육청에 따르면 내년에 바뀌는 교사 배정 방식에 따른 교사 증감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내년 3월부터 교육청별 교사 배정방식이 각 학교의 교사 1인당 학생수를 고려해 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의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고 의견수렴을 하고 있다.
개정안은 교과 교사의 경우 전국 평균 학교별 학생 수에 맞춰 시도별로 교원을 배정한다.
현행 규정은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을 5개 지역군으로 묶고, 지역군별 보정지수에 따라 교사를 배정해 학생수가 같더라도 지역별로 교사 숫자가 달랐다.
새 방식이 적용되면 전체 학생 숫자가 많은 경기도 등은 교원 수가 늘어나지만 상대적으로 학생 수가 적은 곳의 교원 수는 줄어들 것이란 예상만 나올 뿐 시도교육청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교원 숫자가 늘어나거나 감소할 것인지 파악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학생수가 줄어들거나 정체된 일부 광역시급 교육청은 배정 교원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오자 해당 시도교육청은 불만이 쌓여가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학급당 학생수든 교사 1인당 학생 수든 학생 수를 기준으로 교원을 배정한다면 당연히 학생 수가 많은 광역시급은 늘어나야 되는 것 아니냐”며 “도대체 교원배정 기준이 무엇인지 지금도 알 수 없다”고 혼란스러워 했다.
학생 수가 광역시급 교육청보다 적은 도단위 교육청은 이같은 배정 방식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
지역 여건을 감안하지 않고 일률적인 기준을 무리하게 적용하면 학생 수가 적을 수 밖에 없는 시골 농어촌 지역 학교에는 학생들을 가르칠 교과 교사가 배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남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원 배정 방식이 정확히 어떻게 바뀌어 교원 숫자가 어떻게 조정된다는 것인지 구체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며 “시도별로도 이해관계가 달라 시도교육청의 의견 통일도 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내년 1월6일까지 이와 관련한 의견을 수렴한 뒤 3월1일 배정 때부터 개정규칙을 적용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보정지수 방식은 교육여건이 다른 지역을 한데 묶어 현실과는 맞지 않는 점이 있어 합리적으로 바꾸는 것”이라면서 “어느 교육청에 속하든 학생수가 동일하면 같은 수의 교사가 배정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학생 수가 증가하는 경기도만 교원 정원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될 뿐 나머지 시도는 새 방식이 적용되면 교원 정원이 어떻게 변화할지 예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0일 광주·전남 시도교육청에 따르면 내년에 바뀌는 교사 배정 방식에 따른 교사 증감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내년 3월부터 교육청별 교사 배정방식이 각 학교의 교사 1인당 학생수를 고려해 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의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고 의견수렴을 하고 있다.
개정안은 교과 교사의 경우 전국 평균 학교별 학생 수에 맞춰 시도별로 교원을 배정한다.
현행 규정은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을 5개 지역군으로 묶고, 지역군별 보정지수에 따라 교사를 배정해 학생수가 같더라도 지역별로 교사 숫자가 달랐다.
새 방식이 적용되면 전체 학생 숫자가 많은 경기도 등은 교원 수가 늘어나지만 상대적으로 학생 수가 적은 곳의 교원 수는 줄어들 것이란 예상만 나올 뿐 시도교육청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교원 숫자가 늘어나거나 감소할 것인지 파악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학생수가 줄어들거나 정체된 일부 광역시급 교육청은 배정 교원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오자 해당 시도교육청은 불만이 쌓여가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학급당 학생수든 교사 1인당 학생 수든 학생 수를 기준으로 교원을 배정한다면 당연히 학생 수가 많은 광역시급은 늘어나야 되는 것 아니냐”며 “도대체 교원배정 기준이 무엇인지 지금도 알 수 없다”고 혼란스러워 했다.
학생 수가 광역시급 교육청보다 적은 도단위 교육청은 이같은 배정 방식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
지역 여건을 감안하지 않고 일률적인 기준을 무리하게 적용하면 학생 수가 적을 수 밖에 없는 시골 농어촌 지역 학교에는 학생들을 가르칠 교과 교사가 배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남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원 배정 방식이 정확히 어떻게 바뀌어 교원 숫자가 어떻게 조정된다는 것인지 구체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며 “시도별로도 이해관계가 달라 시도교육청의 의견 통일도 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내년 1월6일까지 이와 관련한 의견을 수렴한 뒤 3월1일 배정 때부터 개정규칙을 적용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보정지수 방식은 교육여건이 다른 지역을 한데 묶어 현실과는 맞지 않는 점이 있어 합리적으로 바꾸는 것”이라면서 “어느 교육청에 속하든 학생수가 동일하면 같은 수의 교사가 배정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