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 보고서…공과금 연체도 9.7/%나
서울의 극빈층 거주지역에 사는 독거노인이 위험하게 방안에 설치된 연탄 난로에 의존해 겨울을 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13일 서울연구원의 보고서 ‘서울시민의 삶과 복지실태’에 따르면 경제적인 이유로 공과금을 연체한 경우는 총 3019가구 중 9.7%였다. 난방을 중단한 경우도 9.2%였다. 의료비 미납(4.1%), 집세 연체(3.9%), 결식·감식(2.3%)도 있었다. 적기는 하지만 건강보험료 미납(1.7%), 공교육비 미납(0.6%)도 있었다.
서울시에서 살려면 생활비를 월 310만원은 써야 적정하다고 응답했고, 적어도 230만원은 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평균 지출액은 월 227만원이었고, 월 생활비가 200만원 미만이 절반 가까운 44.4%이었다. 예상과 달리 300만원 이상을 쓰는 가구는 29.4%에 불과했다. 소득 상위 20%가 하위 20%보다 8.56배나 수입이 많았다.
수입도 부족하고 집값, 교육비 등으로 지출도 팍팍하니 자신을 중상층 및 상류층이라고 여기는 비율(17%)은 10명 중 2명도 안됐다. 중산층 기준은 월수입 555만원이라고 응답했지만, 가구 총수입은 지난해 평균 4538만원이었다. 2년 전(4485만원)보다 1.2% 증가해 거의 제자리걸음이었다. ‘중산층’이라면 1인 가구 477만원, 2인 가구 517만원, 3인 가구 764만원, 4인 이상 가구 784만원 등을 벌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힘든 삶에 대한 지원 즉, 복지는 국가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가구(35.5%)가 자기 자신(29.8%)보다 더 많았다. 복지 재원마련은 부자 증세(38.6%)나 기업의 세금·기부금(35.3%)으로 하자고 했다. 세금은 16%에 불과했다.
건강도 적신호였다. 만성질환(3개월 이상)을 앓는 가구주(11.1%)는 10명에 1명 꼴이다. 65세 이상 노인은 10명 중 4명이 만성질환 상태였다. 우울 경험을 한 가족이 있는 가구도 10.3%였다. 자살시도를 한 가족이 있는 가구는 2.7%였다.
구 별로 동작·관악 권역은 2가지 이상의 ‘결핍’을 경험한 가구가 12.5%로 가장 많았다. 서초·강남·송파·강동 권역은 빈부격차가 극심했다.
김경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올해 처음 복지조사를 해보니 시민들의 삶이 예상보다 더 팍팍했다”면서 “‘맞춤 복지’를 위한 꾸준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