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소식지’ 만들어 당산역 800가구 원룸촌 변화시킨 강민지씨
“오프라인 모임은 이제 겨우 시작이에요. 함께 사는 따뜻한 동네를 만들기 위한 변화가 이제 막 걸음마를 뗀 거죠.”![강민지(왼쪽 네 번째)씨 등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6가 주민들이 지난 13일 한 음식점에서 함께 식사를 하기 전에 포즈를 취하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2/14/SSI_20151214170250_O2.jpg)
![강민지(왼쪽 네 번째)씨 등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6가 주민들이 지난 13일 한 음식점에서 함께 식사를 하기 전에 포즈를 취하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2/14/SSI_20151214170250.jpg)
강민지(왼쪽 네 번째)씨 등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6가 주민들이 지난 13일 한 음식점에서 함께 식사를 하기 전에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들을 모이게 한 주인공은 소식지를 발간하는 강민지(33·여)씨. 그는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즐거움을 느꼈으면 하는 마음에서 소식지를 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당산동 6가는 지하철 2호선 당산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서울의 대표적인 원룸 밀집지역이다. 그만큼 혼자 사는 사람이 많다. 좁은 반경에 800여 가구가 몰려 있지만 저마다의 일상에 지친 사람들은 이웃과의 교류를 꺼린다.
적막했던 동네에 생소한 이름의 소식지가 눈에 띄기 시작한 것은 2013년. 강씨는 소식지에 주변 식당 등 일상생활에 유용한 정보나 각종 동네 소식들을 담았다. 하지만 작은 변화를 가져 오는 데는 2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처음에는 관심을 갖는 사람이 거의 없었어요. 그러다 보니 주변에서 ‘왜 굳이 나서서 일을 만드냐’는 말을 듣기도 했지요.”
소식지는 초창기 발행되지 않을 때도 있었지만 올 들어서는 2달에 한 번 꼬박꼬박 이웃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최근 동네에서 벼룩시장이 열리거나 봉사 활동이 진행된 것도 소식지의 역할이 크다. 관련 내용이 소식지에 실리면서 참여도가 높아지고 호응도 뒤따른다.
지난 10월에는 지역 주민이 모은 성금으로 연탄 1300장을 마련해 형편이 어려운 이웃 주민 4명에게 배달한 사실이 소식지에 실리기도 했다. 강씨는 “옆집이나 앞집에 사는 사람이 누구인지도 모른 채 그저 살아가기만 하고 있다”며 “소식지에 실리는 소식에 관심을 기울여주고, 공동체를 꿈꾸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만으로 만족한다”고 했다.
2개월에 한 번 1000부 정도 발행되는 소식지를 만드는 일은 이제 마을 사람 모두의 몫이 됐다. 교회에서 발행 비용을 기꺼이 부담해 주고 가게들은 소식지 배포에 도움을 준다. 지난달부터는 함께 밥을 먹는 모임도 시작됐다. 치킨집을 운영하는 정지훈씨가 선뜻 장소를 내준 덕분이다. 모임에 참여한 정하은(26·여)씨는 “같이 모여 밥을 먹는 것만으로도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고 전했다. 양영길(33)씨는 “서울에 정착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이런 모임은 처음”이라며 “올해는 이웃의 정을 느낄 수 있는 따듯한 연말을 보낼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강씨는 앞으로 어려운 이웃 주민을 돕거나 벼룩시장을 여는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갈 생각이다. ‘공생하며 살아가는 따뜻한 사람들의 이야기’라는 소식지의 부제처럼 자그마한 동네에서부터 시작되는 작은 변화를 꿈꾸기 때문이다.
글 사진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12-1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