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들 “무릎을 망치는 생활습관 따로 있다”

전문의들 “무릎을 망치는 생활습관 따로 있다”

입력 2015-12-17 13:26
수정 2015-12-17 1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상 생활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반복하는 동작이나 습관이 무릎 건강을 해친다. 퇴행성 관절염 등 관절 질환으로 병원을 찾으면 의사들이 자주 하는 말이지만 체감하기 어렵다. 이미 몸에 익은 습관을 바꾸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 전문 바른세상병원(병원장 서동원)에서 척추 및 관절질환을 다루는 전문의들을 통해 ‘무릎에 안 좋은 일상적인 행동 10선’을 골라냈다. 양반다리는 물론 수영의 특정 동작도 여기에 포함돼 눈길을 끈다.
 퇴행성 관절염은 국내 65세 이상 노인 2명중 한 명이 앓을 만큼 흔해 지난해의 경우 전국적으로 243만 명의 환자가 병원 치료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으며, 발병 연령대도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이런 퇴행성 관절염은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 더 잦고 증상도 심해진다. 낮은 기온 때문에 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데다 혈액순환도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수영 평영의 발차기, 양반다리도 문제
 병원 측은 이런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해 관절센터 소속 정형외과 전문의 9명으로부터 ‘무릎 건강에 안 좋은 자세나 일상적인 행동을 자유롭게 기술하는 형식’으로 의견을 물었다.
 그 결과, 9명의 전문의 모두가 ‘쪼그려 앉기’, ‘무릎 꿇고 앉기’, ‘양반다리로 앉기’ 등 우리나라의 좌식문화에서 비롯된 대표적인 앉는 자세 3종류를 무릎 건강을 해치는 대표적 자세로 꼽았다.
 또 ‘계단에서 뛰어내려오기’와 ‘순간적으로 방향 전환하기’도 일상생활 중에 흔히 취할 수 있는 행동이지만 무릎 건강에는 상당한 위험요인이 되는 것으로 지적됐다. 종교 의식으로 행하는 108배 등 큰절 동작이나 젊은 여성들이 즐기는 하이힐도 무릎 건강을 위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병원 관절센터 여우진 센터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대표적인 생활습관병인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은 장기간 잘못된 생활습관이 누적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바닥에 앉는 좌식문화가 일반적인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양반다리, 무릎 꿇고 앉기, 쪼그려 앉기 등의 행동이 반복되면 무릎 건강을 심각하게 해치는데, 노년층에 관절염 환자가 많은 것은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오리걸음’이나 ‘토끼뜀’, ‘짝다리로 서는 습관’, ‘과도한 스쿼팅이나 런지’ 등 무릎을 최대한 굽히거나 펴는 동작, 수영 중 ‘평형의 발차기’, ‘의자에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 ‘과체중’, ‘미용 목적으로 무릎을 붙이고 걷는 걸음’, ‘무리한 달리기와 줄넘기’도 지나치면 무릎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수영은 일반적으로 척추나 관절 건강에 좋은 운동으로 알려져 있지만 무릎 관절의 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은 평영을 삼가는 대신 자유영 등 무릎에 나쁜 영향을 덜 미치는 발차기로 수영을 즐기는 것이 좋다고 의료진은 권고했다.
 
 ■연령대별 무릎건강 지키기
 관절은 연골과 주위의 뼈, 관절을 싸고 있는 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골은 관절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이 연골이 손상되거나 퇴행성 변화에 따라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있어 통증과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무릎관절에 퇴행이 많은 것은 오랜 시간동안 체중을 지탱하기 때문이다.
 
 -20~30대
 젊은 20~30대는 관절 건강에 소홀하기 쉽다. 관절에 작은 부상이나 이상이 있어도 무시한 채 넘기기 일쑤다. 하지만 사소한 문제라고 방치하면 관절 기능에 제약이 따르고, 나이가 들면서 퇴행이 빨라지는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 연령대 남성은 축구, 농구 등 다양한 스포츠를 즐겨 스포츠 손상을 입는 일이 많다. 관절에 충격을 주는 운동을 많이 하다 보면 어깨와 무릎관절에 무리가 와 어깨와 무릎에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심하면 무릎연골이 찢어지거나 인대가 늘어나 십자인대파열, 박리성골연골염 등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여성은 신발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 여성들이 즐기는 하이힐은 체형이 예뻐 보이지만 허리와 무릎 관절은 물론 발에까지 부담을 줘 허리와 무릎 통증을 유발하고, 족저근막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40~50대
 40~50대의 중년층은 노화와 비만을 경계해야 한다. 중년은 관절 노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자연스레 관절과 관절 주위의 근육이 약해진다. 또 운동을 하더라도 쉽게 지치고 통증과 뻐근함이 심해진다.
 이 때는 노화로 기초대사량은 조금씩 줄어드는 반면 식사량은 늘어나 비만으로 발전할 확률이 높아진다. 체중이 1kg 증가하면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은 3kg 이상이므로 살이 찔수록 관절에 실리는 부하는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적절한 운동으로 표준체중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는 유산소 운동과 유연성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60대 이상
 60대 이상은 관절 건강에 가장 취약한 연령대다. 관절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고 연골이 닳아서 움직이는데 불편함을 느껴 외출을 꺼리는 사람도 많다. 활동량이 줄어들면서 근육은 더 약해지고 통증은 악화된다. 이런 상태가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관절 건강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관절 건강에는 운동이 필수다. 운동은 하루 30분씩, 일주일에 3번 정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동 전에는 5~10분간 스트레칭을 해 무릎, 허리 등의 관절을 이완시켜줘야 한다. 운동은 체력과 체격에 맞게 선택하되 관절이 안 좋다면 가볍게 걷거나 아쿠아로빅처럼 관절에 부담이 많지 않은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노년층은 관절에 통증이 있을 때 참지 말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한번 손상된 관절과 근육은 스스로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방치해 질환을 악화시키지 말고 치료를 통해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 현명하다.
 여우진 센터장은 “원인과 병명은 다르지만 누구에게나 관절질환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연령대에 생길 수 있는 관절 질환을 파악해 대비하고, 관리해야 한다”면서 “20~30대도 관절에 통증이 있으면 더 큰 질환으로 키우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검사와 진단,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