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대안’ 역사교과서 집필진 내달 구성 마무리

국정 ‘대안’ 역사교과서 집필진 내달 구성 마무리

입력 2015-12-26 13:45
업데이트 2015-12-26 1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수·교사 30명 안팎…집필과정 공개, 공청회 등 통해 수시 검증

중·고교 한국사 국정교과서에 대응한 ‘대안교과서’ 집필진이 내달 말까지 구성될 전망이다.

전북교육청은 대안교과서인 ‘역사교과서 보조자료’ 집필위원 선정 작업을 내달 안에 마무리 지을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집필위원회는 역사학계 교수와 교사 30명 안팎으로 꾸려진다.

우선 보조자료 개발에 참여한 전북·강원·광주·세종교육청이 추천한 12명과 전북교육청이 운영하는 ‘보조자료 개발을 위한 테스크포스(TF)’에 몸담은 교수와 교사, 장학사 등 10여명이 참여한다.

여기에 시대별 역사에 정통한 전문가 10명가량이 추가된다.

‘보조자료’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자문위원회도 운영하기로 했다.

10명 안팎으로 만드는 자문위는 집필 내용을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집필위원회는 구성과 함께 집필에 들어가 내년 8월까지 1차 초안을 내놓을 방침이다.

최종 발간은 2017년 9월 안에 하게 된다.

애초 국정교과서가 나오는 2017년 3월에 맞춰 발간하려고 했지만 국정교과서 문제점과 오류를 바로잡을 시간을 벌기 위해 한 학기 늦추기로 했다.

집필 과정은 투명하게 공개하며 내용도 공청회와 공개토론 등을 거쳐 수시로 검증받기로 했다.

이에 앞서 전북교육청 등은 시대 흐름을 따라 역사를 기술하는 기존 교과서와 달리 ‘보조자료’의 경우 특정한 주제를 집중 탐구하는 형태로 만들기로 방향을 정했다.

여기에 각 지역의 역사를 심도 있게 다뤄 중앙 중심의 역사 기술이라는 기존 교과서의 한계를 탈피하기로 했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보조자료 형식과 내용 등은 대체로 정리돼 집필진 구성만 마무리되면 곧바로 집필에 들어갈 수 있는 상황”이라며 “보조교재 개발이 본격화한 이후에라도 참여를 원하는 타 시·도교육청이 있으면 얼마든지 수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