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추모공원화사업 얼마나 진행됐나

일본군 위안부 추모공원화사업 얼마나 진행됐나

입력 2015-12-29 13:53
업데이트 2015-12-29 1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과 일본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최종 타결을 선언하면서 피해자 지원시설인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 일대에 조성 중인 추모공원화 사업이 얼마나 진행됐는지에 새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나눔의 집은 피해 할머니들의 생활관 뒤편 1천300여㎡(4천300평) 부지에 2층 한옥 형태의 추모관과 유품전시관을 짓겠다며 지난 26일 광주시에 착공 계획서를 냈다고 29일 밝혔다.

건립 사업비는 행정자치부와 여성가족부, 경기도, 나눔의 집 등이 매칭펀드 방식으로 분담해 17억5천여만원을 댄다.

2016년 상반기 준공 목표로 곧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한옥 건물의 2층에는 추모관(126㎡·38평), 1층엔 유품 전시관(430㎡·130평)이 들어선다.

또 인권 보호와 평화의 소중함을 배우는 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나눔의 집 주차장으로 쓰던 공간 일부에 지난해 2월 착공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인권센터’는 부지 추가 매입에 따른 설계변경작업이 진행 중이다.

설계변경이 끝나면 늦어도 내년 하반기에는 1천650여㎡(500평) 부지에서 공사를 재개해 지상 3층, 건물면적 790㎡(240평) 규모로 인권센터를 신축할 계획이다.

2017년 상반기 준공해 일반에 공개한다.

이에 앞서 일본군 ‘성노예’를 주제로 한 인권테마박물관인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은 1년여의 시설 보수공사를 마치고 지난 23일 다시 개관했다.

보수공사로 역사관은 2층에 전시실을 추가로 확보해 총 면적이 400㎡(120평)로 넓어졌다.

1998년 문을 연 역사관은 일본의 전쟁범죄를 고발하고 피해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사와 인권 교육의 장으로 활용돼 왔다. 강제동원 증언 기록물과 트라우마 심리치료 영상 3천60점 등이 보관돼 있다.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은 “한일 정부가 발표한 위안부 문제 타결 선언과 상관없이 그동안 해온 피해자 추모공원화 사업은 차질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