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이 된 탈북자
이경희·방금철씨 등 140여명 근무 “통일 준비에 힘 보탤 수 있어 보람”“통일 준비에 조금이라도 힘을 보태라고 정부가 저를 이 자리에 앉혔다고 생각합니다. 능력껏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방금철씨
통일부는 이씨를 포함해 탈북자 5명을 처음으로 정규직 공무원으로 선발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한국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한 탈북자의 수는 통일 준비의 바로미터가 된다”며 “통일 이후 남북의 경제적·정서적 장벽을 허무는 등 원활한 통합을 위해서는 탈북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때 뽑힌 5명 중 이씨와 방금철(31·9급)씨는 실명을 공개하는 데 동의했지만 황모(여·7급), 박모(여·7급), 김모(여·9급)씨는 북한에 있는 가족들에게 누가 될 수 있다며 이름과 나이를 공개하지 말아 달라고 했다. 현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는 140여명의 탈북자가 일하고 있지만 대부분 계약직이거나 행정 지원 업무 정도만을 보고 있다.
이들 중 김씨는 “2008년 한국에 들어온 뒤 민간기업에 취업하려 했지만 탈북자라는 편견의 벽에 부딪혀 늘 좌절했다”고 말했다. 탈북자에 대한 차별을 누구보다 잘 아는 그는 “공직 사회에 탈북자들이 진출한 것이 탈북자에 대한 선입견과 차별을 넘어서는 데 보탬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공직 사회만큼 탈북자를 편견 없이 능력으로 봐주는 조직은 드문 것 같아요. 앞으로 능력 있는 탈북자들이 공직은 물론 민간 분야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했으면 합니다.”
박씨는 다른 정부 부처에서 정규직 공무원으로 근무하다가 지난해 공채시험을 다시 봐서 통일부로 왔다. 그는 “2007년 한국에 들어와 대학에 다녔고 지금은 가정을 꾸리고 아이도 낳았다”며 “학업, 세금, 육아 등 한국에서 생활하는 탈북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싶다”고 밝혔다. “탈북민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원보다는 자립·자활 쪽에 대책이 집중돼야 합니다.”
방씨는 2002년 8월 북한 어선을 타고 귀순한 보트피플 가운데 한 명이다. 당시 그는 고교생이었다. 그간 자동차공업사 등에서 일하며 공무원의 꿈을 키웠다.
황씨는 탈북민 정착 지원 및 상담 업무를 맡고 있다. 그는 2007년 한국에 들어와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대학원까지 졸업했고 그동안 지자체에서 계약직으로 근무했다. 황씨는 “통일이라는 미래를 준비하는 일에 동참하는 것 자체가 영광”이라며 “같은 처지의 탈북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공무원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6-02-0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