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영어 지출 줄고 체육 등 예체능은 증가
방과후학교 선행학습 금지로 사교육으로 수요 이동지난해 초·중·고생은 1인당 사교육비로 월평균 24만4천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와 영어, 수학 등 일반 교과 사교육비는 줄어드는 추세지만 예체능은 체육을 중심으로 사교육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신익현 교육부 학교정책관이 25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결과 발표 브리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5년 사교육비 총 규모는 약 17조8천억 원으로 2014년 18조 2천억 원 대비 4천억 원 감소해 6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교육부는 ”2015년 사교육비 총 규모는 약 17조8천억 원으로 2014년 18조 2천억 원 대비 4천억 원 감소해 6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교육부는 26일 통계청과 공동으로 한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해 전국 초·중·고 1천244개교의 학부모 4만3천명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 결과 지난해 사교육비 총 규모는 17조8천억원으로 전년보다 4천억원(2.2%) 줄었다. 이는 지난해 초·중·고 학생수가 전년보다 3.1%(19만7천명) 감소하는 등 전체적인 학령인구가 줄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1인당 월평균 명목 사교육비는 24만4천원으로 2014년(24만2천원)보다 1.0%(2천원) 늘었다.
명목 사교육비란 물가 지수 등을 반영하지 않고 전체 사교육비 총액을 학생 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
1인당 명목 사교육비는 2013년(23만9천원) 이후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는 23만1천원으로 전년보다 0.4% 줄었지만 중학교(27만5천원)는 1.9%, 고등학교(23만6천원)는 2.9% 늘었다.
사교육 관련 물가지수를 반영한 실질 사교육비는 20만4천원으로 전년보다 1.5%(3천원) 감소했다고 교육부가 설명했다.
명목과 실질 사교육비 모두 1인당 월평균 20만원대라는 것은 현실과 동떨어진 수치라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사교육 참여율이 68.8%로 나타났는데 이는 나머지 31.2%는 사교육을 전혀 받지 않는다고 답했다는 뜻”이라며 “사교육 참여자와 비참여자를 모두 포함해 평균값을 내다보니 액수가 실제보다 적게 느껴질 수 있다”고 말했다.
1인당 사교육비 증가에는 예체능 과목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국어와 영어 등 일반교과 사교육비는 19만원으로 전년보다 0.3%(1천원) 줄어든 반면 예체능 사교육비는 5만3천원으로 5.4%(3천원) 늘었다.
예체능 사교육비는 조사가 시작된 2007년(4만3천원) 이후 2012년을 제외하고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태권도 등의 교육이 강조돼 체육 사교육비는 전년대비 13.6% 증가했다.
초등학교는 영어 사교육비가 7.3%(6천원) 줄어든 것이 눈에 띈다. 교육부는 2018년부터 수능 영어가 절대평가로 전환되는 것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했다.
방과후학교 비용 총액은 1조1천600억원으로 전년보다 7.5% 줄고, 참여율도 57.2%로 2.1%포인트 떨어졌다.
교육부는 공교육정상화법 시행으로 방과후학교에서 선행학습이 금지되면서 일반교과 수요가 방과후학교에서 사교육으로 옮겨 갔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실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행교육예방 연구센터에서 올해 1∼2월 조사한 결과 방과후학교에서 선행교육을 금지한 뒤 중학생은 대체 학습방법으로 80.7%가, 고등학생은 65.2%가 사교육을 택했다고 답했다.
교육부는 사교육 수요가 예체능에서 늘어나는 점을 고려해 초등학교 예체능 방과후 프로그램 확대 방안을 다음 달 중 마련할 계획이다. 초등 돌봄교실에서 예체능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중·고등학교 사교육 수요를 줄이기 위해서는 방과후학교의 선행학습 제한을 완화하는 내용의 공교육정상화법 개정안이 조속히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