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노소 호시탐탐 노린다…임신부 주차장은 ‘전쟁 중’

남녀노소 호시탐탐 노린다…임신부 주차장은 ‘전쟁 중’

입력 2017-03-03 09:52
업데이트 2017-03-03 09: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모 데리러 왔다며 주차해 놓고 혼자 걸어와…최소한의 배려라는 인식 필요”

임신 7개월째로 접어든 직장인 A(30)씨는 최근 대전의 한 지방자치단체 임신부 전용 주차장을 이용하려다 난데없는 지적을 받았다.

차량 앞 유리창을 물끄러미 바라보던 주차 도우미가 ‘임신부 확인 표식이 없다’며 일반 주차장으로 안내하려 했기 때문이다.

A씨는 “차량 청소를 하다가 확인증을 빼뒀는데, 다행히 산모수첩을 갖고 있어오해를 풀 수 있었다”며 “일반 차량이 수시로 와서 그런다는 도우미 설명에 같이 헛웃음을 지었다”고 말했다.

대전에 사는 5개월 차 임신부 B(34)씨에게도 이런 경험은 남의 얘기가 아니다.

그는 “일반 차량 운전자의 얌체 주차가 얼마나 많으면 이렇게 철저하게 관리할까 싶다”며 “외투를 입으면 배가 잘 안 보여 가끔 단추를 풀고 하차한다”고 토로했다.

임신부를 배려하고자 관공서와 대형마트 등지에서 운영 중인 주차장이 ‘얌체 운전자 전용’ 공간이 돼 버린 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임신부가 아닌 남녀노소 아무나 주차장을 요령껏 이용하는 사례는 적지 않게 목격된다.

대전의 한 자치구에서만 하루에 많게는 10건 넘는 관련 민원이 들어오기도 한다.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시책 중 하나로 곳곳에서 임신부 전용 주차장을 설치했으나, 의무 사안은 아니다 보니 지키지 않아도 막을 도리가 없다.

개인 양심에 호소하거나 계도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대전의 한 대형마트 주차요원은 “임신한 부인을 데리러 왔다고 해놓고선 나중엔 혼자 걸어와 사라지는 남자가 종종 있다”며 “제재할 명분이나 방법이 없다 보니 그냥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임신부 주차장을 만든 건 거동이 쉽지 않은 임신부에게 최소한의 편의를 제공하자는 노력이라는 게 대전시의 설명이다.

‘아이 낳기 좋은 사회를 만들자’는 사회적 교감은 그러나 이렇게 작은 곳에서부터 무너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3일 “전용 주차장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임신부에게 배려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배려이자 조처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임신부 안전을 위해 설정한 구역인 만큼 당연히 지켜야 한다는 인식 전환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