팍팍한 서울살이… 30대 절반 ‘월세살이’

팍팍한 서울살이… 30대 절반 ‘월세살이’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17-06-08 18:18
업데이트 2017-06-09 0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서베이’ 결과 들여다보니

서울에 사는 30대의 절반 가까이가 월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세거주 비율이 10여 년 전에 비해 2.5배로 뛰었다.
서울시가 8일 발표한 ‘2017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민의 주택 소유 형태 가운데 30대의 월세 비중은 45.6%였다. 2005년에는 19.4%에 불과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경기 상황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고 저금리 시대가 길어지면서 집주인들이 임차유형을 전세에서 월세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는 게 주된 이유”라고 설명했다.

아예 집을 매입한 30대들도 지난해 24.8%를 기록해 2015년(12.0%)에 비해 배로 늘었다. 전셋값이 뛰고 집주인들이 월세로 돌아서자 아예 빚을 내 매매에 나선 것이다. 30대의 81.8%가 주택구매·임차를 가구부채 이유로 들었다. 2010년 조사(62.7%) 때보다 큰 폭으로 늘어난 수치다. 함 센터장은 “같은 30대라도 ‘직업에 따른 대출 가능 여부’, ‘부모님의 지원 여부’에 따라 자가와 월세로 나뉘는 양극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2003년 서울서베이 조사가 시작된 이래 처음으로 월세가 전세 비중(26.2%)을 넘어섰다. 지난해 서울시민의 주택 소유 형태 가운데 월세 비중은 31.3%였다. 자가주택 비율은 42.1%로, 꾸준히 40% 초·중반대를 유지했다.

서울 가구의 절반 이상은 1∼2인만 사는 소형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29.9%, 2인 가구가 24.9%였다. 서울시에서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관악구(44.9%)다. 중구(37.8%), 종로구(37.5%), 광진구(36.9%) 등 1인 가구가 30% 이상인 자치구는 모두 12곳이다. 변미리 서울연구원 글로벌미래센터장은 “관악구 같은 경우 신림동 등에 공부하는 학생들이 많아 비중이 가장 높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노인층의 절반 가까이가 월 수입이 200만원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수준을 보면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인 가구가 34.0%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 미만인 가구(7.7%)까지 포함하면 41.7%에 달했다. 노인인구 비율은 강북구와 중구가 16.5%로 가장 높았다.

서울서베이는 서울시민이 느끼는 삶의 질, 주거, 교육 등 주요 생활상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가 매년 하는 조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한 달간 서울시 거주 2만 가구와 외국인 25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7-06-09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