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기 농민 사인 변경…시민단체 “‘병사’ 기재 책임자 처벌”

백남기 농민 사인 변경…시민단체 “‘병사’ 기재 책임자 처벌”

김서연 기자
입력 2017-06-15 17:49
업데이트 2017-06-15 17: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병원이 경찰 물대포에 맞아 숨진 백남기씨의 사인을 ‘병사’에서 ‘외인사’로 변경한 데 대해 시민단체들이 “병사로 기재한 진상을 규명해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15일 목소리를 높였다.
물대포에 쓰러진 백남기 농민, ‘병사’에서 ‘외인사’로
물대포에 쓰러진 백남기 농민, ‘병사’에서 ‘외인사’로 서울대병원이 고(故) 백남기 농민 사망진단서를 기존 ‘병사’에서 ‘외인사’로 변경했다. 사진은 지난 2015년 11월 14일 서울 시내에서 열린 ‘민중총궐기 투쟁대회’에서 백남기 농민이 종로1가 인근에서 경찰의 물대포에 맞아 쓰러진 모습. 2017.6.15. 연합뉴스
시민단체 모임 ‘백남기투쟁본부’는 이날 입장문 발표를 통해 “너무 당연한 일이 너무 늦게 이뤄졌다”면서 “명백한 사망원인을 왜 병사로 기재했는지 규명해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남기투쟁본부’는 백씨가 속했던 가톨릭농민회를 포함, 전국농민회총연맹, 민주노총, 진보연대 등 107개 시민단체가 물대포 사건 진상규명을 위해 모인 연대체다.

이들은 “(백씨 주치의였던) 백선하 신경외과 교수와 서창석 서울대병원장은 유족과 국민 앞에 사죄하고, 사인 조작 시도의 전말을 고백한 다음 응분의 처벌을 기다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단체는 “서 원장이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과 사적인 만남을 갖고, 백남기 농민 상태에 관해 청와대에 수시로 보고했던 일들도 철저히 조사돼야 한다”며 “사인 조작 시도 과정을 밝혀야만 서울대병원이 오욕을 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