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제보조작’ 이준서 사흘째 소환…박지원 조사 필요성 검토

檢, ‘제보조작’ 이준서 사흘째 소환…박지원 조사 필요성 검토

입력 2017-07-14 11:27
업데이트 2017-07-14 1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인원·김성호 주말께 부를듯…‘부실검증’ 압박할 증거확보 주력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씨에 대한 ‘취업특혜 의혹 제보조작’ 사건을 수사하는 검찰이 14일 ‘주범’인 국민의당 이준서(구속) 전 최고위원을 소환해 공명선거추진단의 부실 검증 경위를 집중 조사한다.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남부지검 공안부(강정석 부장검사)는 이날 오후 ‘주범’ 이준서(구속) 전 최고위원을 사흘째 불러 조사한다.

검찰은 이 전 최고위원을 상대로 조작된 제보 자료를 넘기고 이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대선 당시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 수석부단장이었던 김성호 전 의원, 부단장이었던 김인원 변호사와 구체적으로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 캐물을 예정이다.

또 이 전 최고위원이 제보 공개 사흘 전인 5월 1일 조작된 카카오톡 제보를 휴대전화 메신저 ‘바이버’로 박지원 전 대표에게 보내고 전화한 경위와 구체적인 대화 내용에 대해서도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둘은 이날 오후 36초간 통화했다.

국민의당 측은 당시 박 전 대표가 이 전 최고위원이 보낸 카카오톡 제보를 보지 못했으며, 통화에서는 ‘바이버로 보낸 것을 확인해달라’는 말만 들었고 다른 이야기는 없었다고 주장한다.

당초 이주 중반 김 전 의원 등을 부른다는 방침이었던 검찰은 현재는 이 전 최고위원이 혐의를 여전히 완강히 부인하는 마당에 무리하게 속도를 낼 필요는 없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날 이 전 최고위원과 참고인들에 대한 추가 조사 등으로 관련 진술과 증거를 더 확보한 뒤 주말께 김 전 의원 등을 부른다는 방침이다.

김 전 의원에 대한 소환은 공명선거추진단 단장이었던 이용주 의원, 나아가 박 전 대표 등 당 지도부에 대한 수사 확대의 신호탄으로 인식되는 만큼 이들을 확실히 압박할 ‘재료’ 확보에 더욱 신중을 기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검찰은 이 의원 보좌관 김모씨로부터 압수한 휴대전화와 김 전 의원, 김 변호사의 휴대전화 통화·메시지 내역을 정밀 분석 중이다. 이들은 모두 제보 검증에 참여한 사람들이다.

검찰은 공명선거추진단 인사들에 대한 조사 결과에 따라 박 전 대표 소환 필요성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검찰은 14일 조작을 실행한 당원 이유미씨를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구속기소 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