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DJ 뒷조사’ 이현동 전 국세청장 재소환…영장 검토

검찰 ‘DJ 뒷조사’ 이현동 전 국세청장 재소환…영장 검토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2-07 10:13
업데이트 2018-02-07 1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외 비자금 풍문확인’ 국정원 비밀공작 도운 혐의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과 손잡고 김대중 전 대통령을 뒷조사하는 비밀공작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 이현동(62) 전 국세청장이 7일 검찰에 다시 소환됐다.
이미지 확대
이현동 전 국세청장
이현동 전 국세청장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송경호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9시 56분 이 전 청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지난달 31일 첫 소환 이후 새롭게 확보한 공작 관련 자료 등을 바탕으로 이 전 청장의 혐의 사실을 캐물었다. 이 전 청장은 쏟아지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고 조사실로 향했다.

검찰은 그의 진술 내용 등을 검토한 뒤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0∼2013년 국세청장을 지낸 이 전 청장은 국세청 차장이던 2010년께 국정원으로부터 대북 공작금 수천만 원을 받고 김 전 대통령의 해외 비자금 의혹을 뒷조사하는 비밀공작 ‘데이비드슨’에 협조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인수위원회, 청와대 파견근무 경력 등으로 국세청 내 ‘실세’로 통하던 이 전 청장을 고리로 국정원과 국세청 극소수 직원이 김 전 대통령 및 주변 인물의 현금 흐름 등을 추적했다고 본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당시 공작에 참여한 것으로 의심되는 박모 전 국세청 차장과 이모 전 역외탈세담당관 등을 소환 조사하고 이달 초 국세청 역외탈세정보담당관실 등도 추가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국정원과 국세청은 미국 국세청(IRS)의 한국계 직원에게 거액을 주고 정보를 빼내오는 등 2년여 동안 비자금 풍문을 다각도로 검증했으나 결국 사실이 아닌 것으로 결론냈다.

검찰은 앞서 대북 공작금 10억원가량을 빼돌려 김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위 풍문 확인 공작을 벌인 의혹을 받는 국정원 최종흡 전 3차장과 김승연 전 대북공작국장을 지난달 31일 구속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