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아파트 살인?”…잔혹사건 발생장소 포털 검색 안된다

“00아파트 살인?”…잔혹사건 발생장소 포털 검색 안된다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2-22 09:42
업데이트 2018-02-22 09: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언론서 실명 보도 없으면 연관검색어 삭제…“낙인효과 피해방지”

각종 잔혹 사건의 발생장소 이름이 연관 검색어로 노출되면 이를 포털에 신고해 지울 수 있게 됐다.

‘연쇄살인 발생한 동네’ ‘자살사건 벌어진 아파트’ ‘집단 폭행사건 잇따른 학교’ 등 선정적 실명 정보가 검색을 통해 돌아 엉뚱한 사람들이 ‘낙인 피해’를 당하는 것을 막자는 취지다.

단 해당 지역의 실명이 언론 사건 보도에서 언급되지 않았다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22일 포털 업계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는 작년 6월부터 이런 내용의 ‘비실명 보도 관련 검색어 삭제 규정’을 도입해 적용하고 있다.

KISO는 네이버·다음·네이트 등 국내 포털이 어떤 연관 검색어와 자동완성 검색어를 삭제할 수 있는지에 대해 규정을 정하는 단체다.

통상 유괴, 살인, 아동학대 등 엽기적 사건이 벌어지면 언론에서 실명이 거론되지 않아도 각종 인터넷 게시판 등에서 사건이 벌어진 장소나 연루 단체 등의 언급량이 급등한다.

이 여파로 포털 검색 엔진이 이런 정보를 사건의 관련 검색어로 자동 인식하고 노출할 공산도 커진다.

검색 엔진의 알고리즘(전산 논리체제)은 인터넷에서 사용자들이 많이 얘기하는 내용을 잘 반영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KISO 규정은 특정 사건의 보도에서 실명 언급이 거의 없던 장소·단체 등이 사건의 연관·완성 검색어로 노출된다는 신고가 들어오면 포털이 해당 키워드를 삭제할 수 있도록 했다.

한 포털 업계 관계자는 “언론에서 실명 언급이 없었다는 것은 애초 공적 관심사와는 무관한 사안이란 뜻”이라며 “포털 검색어로 해당 정보가 우발적으로 공개돼 ‘사건사고의 온상’ 등 오해를 사는 건 부당하다는 결정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신고는 누구나 할 수 있다. 장소·단체명의 공개 논란은 직접적 당사자를 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명 보도가 거의 없다’란 조건을 판단하는 기준은 포털마다 다르지만, 통상 실명 거론 기사가 1∼2개 이하에 그치면 삭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조항 도입의 계기가 된 것은 작년 3월 인천에서 벌어진 초등학생 살인사건이었다.

10대 소녀 2명이 8살 초등학생을 잔혹하게 살해한 이 사건은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고, 이어 사건과 관련된 학교·아파트·공원 등 실명이 포털 관련 검색어로 등재되면서 지역민의 반발이 컸다.

이 때문에 이 사건은 KISO의 해당 규정이 적용된 첫 사례가 됐다. 당시 관련 검색어를 지워달라고 신고한 주체는 해당 지역의 구청이다.

네이버 등 국내 포털은 원칙적으로 KISO가 정한 예외 규정에 해당하지 않으면 관련·완성 검색어를 지울 수 없다.

KISO의 기존 삭제 사유로는 ‘개인정보 노출’ ‘허위 사실 적시로 인한 명예훼손’ ‘장애인·지역·인종 등에 관한 비하 표현 포함’ 등이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