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인지문 화재, 시민 제보로 빠르게 진압…연기감지기 미작동 의문

흥인지문 화재, 시민 제보로 빠르게 진압…연기감지기 미작동 의문

입력 2018-03-09 12:57
업데이트 2018-03-09 1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흥인지문 화재 발생 당시 빠르게 불을 끄고 용의자를 잡을 수 있었던 것은 시민 제보와 상주한 경비 인력 덕분이었다. 그러나 경비 인력이 사전에 침입을 차단하지 못한 점과 연기감지기 등 안전장치 미작동은 문제점으로 남는다.
이미지 확대
흥인지문 화재 현장 살피는 소방대원
흥인지문 화재 현장 살피는 소방대원 9일 오전 화재가 발생한 보물 제1호 흥인지문(동대문)에서 119 소방대원들이 주변을 살피고 있다. 2018.3.9
연합뉴스
소방당국과 문화재청 등에 따르면 9일 새벽 1시 59분 112 상황실에 누군가 흥인지문 담벼락을 넘고 있다는 시민 제보가 접수됐다. 112 상황실에서는 곧바로 흥인지문 문화재 안전 경비원에게 연락을 했고, 경비원은 현장에서 초기에 화재를 진압했다. 또 흥인지문 외벽 넘어 위치한 누각 내부에 있던 용의자 정모(44)씨를 붙잡았다.

당시 흥인지문에서 경비를 담당하는 문화재청 안전 경비원은 총 3명으로 1명은 사무실, 2명은 외부 순찰을 돌고 있었다. 흥인지문에 배치된 안전 경비원은 모두 12명으로 3명이 한 조를 이뤄 3교대로 순찰을 담당한다. 문화재청은 2008년 숭례문 화재 이후 주요 문화재에 경비 인력을 배치해왔다.

다만 안전 경비원들은 용의자가 흥인지문 철제 울타리를 넘어가는 모습은 포착하지 못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누군가 흥인지문 담벼락을 넘고 있다는 시민의 신고로 화재를 포착하게 됐다”고 말했다.

방화 용의자는 흥인지문 성벽에 설치된 철제 울타리를 넘어가 내부에 침입해 그 안에 있는 담벼락도 뛰어넘어 올라간 것으로 문화재청은 파악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흥인지문 화재로 내부 그을려…방화 추정
흥인지문 화재로 내부 그을려…방화 추정 9일 오전 1시 59분 서울 종로구 흥인지문에서 방화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했다. 2018.3.9
종로소방서 제공
그러나 화재 당시 화재 경보기 등 안전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것은 문제로 지적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불꽃 감지기가 작동할 만큼 온도가 올라가지 않았다”면서 “연기 감지기 작동 여부에 대해서는 더 파악해보겠다”고 말했다.

흥인지문 소방시설은 소화기 21대와 옥외소화전 4대, 자동화재탐지 설비와 자동화재속보 설비 1대 등이 구비 돼 있다. 불꽃 감지기 총 5대와 CCTV(폐쇄회로 화면) 12대도 각각 설치돼 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새벽 1시 59분 서울 종로구 흥인지문에서 불이 나 담벽이 그을리는 피해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용의자가 흥인지문 1층 외벽에 종이박스를 쌓아 라이터로 불을 피워 방화한 것”으로 추정했다.

경찰은 정씨를 현주건조물방화 혐의로 입건했다. 경찰 관계자는 “정씨가 술에 취한 상태는 아니었다”면서 “자세한 범행 동기와 사건 경위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