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민간인 사찰’ 공무원들 6억 배상책임 2심에서도 인정

MB정부 ‘민간인 사찰’ 공무원들 6억 배상책임 2심에서도 인정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4-12 11:20
업데이트 2018-04-12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 사찰 피해자 김종익씨에 9억여원 배상하고 구상금 청구 1심 이어 2심도 “민간인 사찰은 불법 행위…국가기관도 책임”

이명박 정부 당시 ‘민간인 불법사찰’ 피해자인 김종익 전 KB한마음 대표에게 국가가 지급한 손해배상액 일부를 당시 사찰에 관여한 공무원들이 국가에 내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다시 나왔다.

서울고법 민사8부(설범식 부장판사)는 12일 국가가 이영호 전 대통령실 고용노사비서관, 이인규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 등 7명을 상대로 낸 구상금 청구 소송의 항소심에서 국가와 이 전 지원관 등의 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1심처럼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

이 판결이 확정되면 이 전 지원관 등은 6억3천여만원과 지연이자를 국가에 지급해야 한다.

김씨는 이명박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자신의 블로그에 이 전 대통령을 희화화한 ‘쥐코’ 동영상을 올렸다가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전방위 불법사찰을 받은 끝에 2010년 강요를 받아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김씨는 2011년 국가와 이 전 비서관 등 7명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해 일부 승소했고, 대법원은 국가와 이 전 비서관 등이 김씨에게 지급할 금액이 총 5억2천여만원이라는 원심 판결을 확정했다.

이 판결에 따라 2016년 5월 김씨에게 지연손해금을 포함해 총 9억1천여만원을 배상한 국가는 이 전 비서관 등 7명에게도 책임이 있다며 구상금을 청구하는 소송을 냈다.

지난해 8월 1심은 민간인 사찰을 불법 행위로 판단하고 이 전 비서관 등의 책임을 인정했다.

다만 당시 재판부는 “민간인 사찰 행위는 외형이 피고들 개개인보다는 소속된 국가기관에 의해 이뤄진 행위에 가깝고, 국가기관이 피고들의 불법 행위를 예방·방지하려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며 이 전 비서관 등의 책임을 70%로 제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