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명예훼손 발언’ 김경재 집유…법원 “사회갈등 부추겨”

‘노무현 명예훼손 발언’ 김경재 집유…법원 “사회갈등 부추겨”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4-19 15:20
업데이트 2018-04-19 15: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허위사실 인식했을 것…사회지도층으로 여론형성에 영향력”

집회 연설에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기업에서 수천억원대 불법 자금을 받았다는 허위사실을 언급한 혐의를 받는 김경재 전 한국자유총연맹 총재가 1심에서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김경재 전 한국자유총연맹 회장. 연합뉴스
김경재 전 한국자유총연맹 회장.
연합뉴스
서울중앙지법 형사19단독 이성은 판사는 19일 명예훼손 및 사자명예훼손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김 전 총재에게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사회봉사 80시간도 함께 명령했다.

이 판사는 “김 전 총재는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고자 사실관계를 왜곡 연설해 고 노무현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국민에게 불필요한 분노와 억울함을 가중해 사회적 갈등을 더 부추겼다”고 질타했다.

이어 “김 전 총재는 사회지도층 인사로 여론 형성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위에 있었고, 연설 내용이 언론에 크게 보도되는 등 사회적 파급효과도 적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이 판사는 “그런데도 김 전 총재는 자신의 발언이 갖는 사회적 의미와 책임에 대한 진지하게 성찰하지 않고 형사재판의 엄정함도 받아들이지 못하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피해자들에게는 김 전 총재에 대한 엄벌보다 실체적 진실을 밝혀 훼손된 명예를 회복하는 것이 더 중요한 가치일 것”이라며 “이는 유죄 인정으로도 상당 부분 실현됐다고 보이는 점을 고려해 이번에 한해 선처하기로 했다”며 양형 이유를 밝혔다.

법원은 김 전 총재의 발언 중요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이 판사는 “이 사건 증거들에 의하면 연설 내용은 전후 맥락상 (노 전 대통령의) 개인적 착복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많다”며 “김 전 총재의 ‘걷었다’는 표현 등은 사실관계에 반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전 총재 역시 연설 내용이 허위임을 충분히 인식했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전 총재는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의혹이 큰 사회적 파문을 일으켰던 2016년 11월과 지난해 2월 보수단체 집회에서 “2006년께 노무현 전 대통령이 삼성으로부터 8천억원을 걷었고, 이해찬 전 총리가 이를 주도했다”고 연설했다.

검찰은 노 전 대통령과 이 전 총리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김 전 총재를 재판에 넘겼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