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리아 난민 1200명…참담한 현실에 공감만 해줘도 도움”

“국내 시리아 난민 1200명…참담한 현실에 공감만 해줘도 도움”

이하영 기자
이하영 기자
입력 2018-06-17 20:50
업데이트 2018-06-17 2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압둘 와합 헬프시리아 사무국장
압둘 와합 헬프시리아 사무국장
난민의 날 앞두고 영화 3편 상영
압둘 와합 ‘헬프시리아’ 사무국장
“법 지키고 굶을지 위반하고 살지
난민에 선택은 2가지밖에 없어”


전쟁과 재난, 박해 등으로 고국을 떠났거나 떠나야 할 처지에 놓인 난민의 삶을 다룬 영화 3편이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극장에서 상영됐다.

이 작품들은 오는 20일 유엔이 정한 ‘세계 난민의 날’을 앞두고 난민지원네트워크가 개최한 ‘제4회 난민영화제’ 출품작들이다. 폭격으로 무너진 건물 밑에서 구조 작업을 벌이는 시리아 민간구조대의 이야기를 다룬 ‘라스트맨 인 알레포’, 국내 거주 난민의 실상을 보여 주는 ‘숨’, 스웨덴에 정착한 소말리아 난민의 무모한 도전기를 그린 ‘나이스 피플’이 잇따라 선보였다.

영화 상영 직후에는 관객들과 난민 문제를 얘기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시리아 난민 구호단체 ‘헬프시리아’의 압둘 와합 사무국장과 공익법센터 ‘어필’의 이일 변호사는 “난민의 삶은 제한이 너무 많아 그저 먹고 자는 일밖에 하지 못한다. 게다가 난민을 향한 불편한 시선을 견뎌야 한다”며 열악한 난민의 현실을 지적했다.

이일 변호사는 “국내에 거주하는 시리아 난민은 1200명에 이르지만 법적으로 난민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고 가족들을 국내로 데려올 수 없고, 건강보험 혜택 등을 받을 수 없는 모호한 지위 속에서 살고 있다”고 강조했다. 압둘 와합 사무국장은 “난민들에게 법을 지키면서 굶어 죽을 것인지, 법을 위반하고 살아남을 것인지 선택지가 두 가지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압둘 와합 사무국장은 또 “불편한 시선 때문에 카페에서 아랍어로 대화를 나누기도 어렵고, 엘리베이터 안에서도 불편한 기류를 느끼는 게 다반사”라면서 “난민이라는 이유로 숨죽여 살 수밖에 없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난민들이 겪는 참담한 현실에 공감만 표시해 주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된다”고 호소했다.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2018-06-18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