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폭과 100일 전쟁…1300여명 검거 홍보, 경찰 수사력 뽐내기

조폭과 100일 전쟁…1300여명 검거 홍보, 경찰 수사력 뽐내기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8-06-24 22:36
업데이트 2018-06-24 2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사권 조정 합의 의식한 듯

경찰이 최근 100일간 조직폭력배 1300여명을 검거하고 이 가운데 200여명을 구속했다고 24일 밝혔다. 정부가 지난 21일 1차 수사권과 종결권을 경찰에 부여하는 내용의 ‘검·경 수사권 조정 합의문’을 발표한 이후 경찰 수사력에 의문이 제기되자 경찰이 자신들의 특기인 ‘조폭 수사’ 결과를 공개해 수사력을 뽐내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232명 구속… 10명 중 9명 전과자

경찰청은 지난 3월 7일부터 이달 14일까지 100일간 폭력과 이권개입 등 불법행위를 저지른 조폭에 대한 집중 단속을 펼친 결과 1385명을 검거하고 이 가운데 232명을 구속했다. 범죄 유형별로는 폭력범이 857명(61.9%)으로 가장 많았다. 도박 등 사행성 불법행위자 65명(4.7%), 유흥업소 상대 갈취범 37명(2.7%), 마약범 22명(1.6%), 기타 혐의자 404명(29.1%) 등으로 집계됐다.연령별로는 30대가 551명(39.8%)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20대가 413명(29.8%)으로 뒤를 이었다. 10대 청소년 67명(4.8%)을 포함하면 10~30대가 검거된 조폭의 74.4%에 달했다. 반면 40대는 271명(19.6%), 50대 이상은 83명(6.0%)에 불과했다.

조폭 10명 가운데 9명이 ‘전과자’였다. 전과 6범 이상이 1019명(73.6%), 1범에서 5범까지가 289명(20.8%)이었으며, 이번에 처음 검거된 조폭은 77명(5.6%)에 불과했다. 경찰은 조폭은 아니지만 평소 주민을 상대로 폭행·협박·갈취 등을 일삼거나 상습적으로 행패를 부리는 ‘생활 폭력배’도 2만 4548명을 검거했다. 이들 역시 전과자가 1만 8260명(74.4%)에 달했다.

●‘서면수사 지휘’ 전국 시범운영

한편 경찰은 25일부터 ‘서면 수사지휘 원칙 실효적 이행방안’을 전국 43개 경찰서에서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상급자가 전화나 구두로 내리는 수사 지휘 관행을 없애 수사의 투명성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이를 두고 경찰이 올해 하반기 국회에서 벌일 검찰과의 ‘수사권 입법 로비’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8-06-25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