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 여성비율 50% 넘었다고 공직사회 ‘여초시대’?

국가직 여성비율 50% 넘었다고 공직사회 ‘여초시대’?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8-06-28 16:27
업데이트 2018-06-28 16: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직 공무원 여성 비율 50.2% 돌파
소방 3.9%, 경찰 10.7%에 그쳐
행정부 국가공무원 여성비율
행정부 국가공무원 여성비율 인사혁신처 제공
지난해 행정부 국가직 여성공무원 비율이 정부 수립 이후 처음으로 절반을 넘었다. 인사혁신처는 이를 두고 “여초(女超) 시대가 열렸다”고 표현했지만 지방직과 고위직, 특정직 공무원의 여성 비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었다.

28일 인사처가 발표한 ‘2017 행정부 국가공무원 인사통계’에 따르면 행정부 국가직 여성공무원 수는 32만 9808명으로 전체(65만 6665명)의 50.2%였다.

1987년 25.2%에 그쳤던 여성 비율은 1997년 32.4%, 2007년 45.2%로 10년마다 10% 포인트 내외로 증가해 30년간 두 배로 늘었다.

교육공무원도 같은 기간 39.8%(9만 4324명)에서 71.0%(25만 7232명)로 31.2% 포인트 급증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 기준 전체 공무원 수는 106만 0632명으로 이 가운데 여성 비율(46.0%)은 절반에 못미친다. 국가직은 여성이 절반을 넘었지만, 지방직 여성 비율은 39.2%에 불과해서다.
전체공무원 정·현원
전체공무원 정·현원 인사혁신처 제공
입법부(41.2%)와 사법부(40.2%), 헌법재판소(42.4%)의 여성 비율도 40%대에 머무르고 있다. 교사 외 특정직 공무원의 여성 비율도 낮은 수준이다. 업무 특성상 남성 비율이 높은 소방공무원의 여성 비율은 3.9%, 경찰공무원도 10.7%다.

인사처는 “여성공무원의 4·5급 승진 비율이 지난 10년간 약 2.8배 증가했다”고 밝혔지만 고위직으로 올라갈수록 여성 비율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5급 이상 일반직 공무원 가운데 여성은 19.8%로 5명 중 1명이었고, 3급 이상 공무원에 해당하는 고위공무원단은 6.5%에 불과했다.

여성 비율이 지난 20년 새 0%에서 29.4%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검사도 검사장 이상 고위직에 있는 여성은 2명(0.04%)뿐이었다. ‘여초 시대’라는 말이 무색해 보인다.

앞서 김판석 인사처장은 지난 7일 잠정 통계를 공개하면서 “국가공무원 중 여성 비율이 50%를 최초로 넘었다는 것은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관리자 중 여성 비율이나 업무영역별 불균형이 있는 점 등은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라고 말한 바 있다.

지난 3월 발표된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 계획’에서 인사처는 여성관리자 확대를 위해 ‘공무원 임용령’과 ‘지방공무원 임용령’을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인사처는 2022년까지 지방 과장급(5급 이상)은 20%, 국가직 본부 과장급(4급 이상) 21%, 고위공무원단은 10%까지 늘릴 방침이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