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 환자 80%가 ‘실외작업 40대 이상 남성’

온열 환자 80%가 ‘실외작업 40대 이상 남성’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7-21 11:12
업데이트 2018-07-21 1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울 36도 ‘올여름 최고 더위’
서울 36도 ‘올여름 최고 더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36도가 예상되는 등 연일 기록적인 폭염이 계속되는 21일 아지랑이가 피어 오르는 서울 여의대로 횡단보도에서 한 시민이 물을 마시며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2018.7.21 뉴스1
폭염으로 인한 온열 환자 5명 중 4명은 실외에서 작업하는 40대 이상 남성인 것으로 집계됐다.

21일 부산시 폭염대응 종합대책 자료를 보면 지난해 부산에서 발생한 ‘온열 환자’는 모두 64명이다.

이 가운데 1명이 사망했고, 나머지는 치료를 받은 뒤 건강을 회복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50명, 여성이 14명이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21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17명, 40대가 13명, 30대가 5명 등의 순이다.

특히 남성이면서 40대 이상인 온열 환자는 전체의 81.2%에 달했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폭염 특보가 이어질 때는 근로자가 야외에서 1시간 일하면 15분을 쉴 수 있도록 하는 열사병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면서 “휴식공간이 부족한 기능, 조립, 폐지 수거 종사자 등이 온열 질환에 취약했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지난해 ‘무더위 쉼터’가 노인정 등 노인시설(72%) 등에 집중 설치 운영됐고, 온열 질환자가 많은 야외현장에는 다소 부족했다고 자체 평가하기도 했다.

시는 올해 그늘막을 기존 20개소에서 80개소 더 늘린 100개소에 설치했다.

폭염 특보가 내려지면 해제 시까지 물청소 차량 39대를 이용해 1일 3회 이상 물 뿌리기 작업을 하고 있다.

무더위 쉼터와 폭염 취약계층 거주지 100곳의 옥상에 햇빛과 태양열을 반사하는 차열 페인트를 시공하는 ‘쿨루프’사업도 벌인다.

도시 열섬현상 완화를 위해서는 도로와 보도 지표면의 태양열의 반사율을 높이는 쿨페이브먼트 사업도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