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무원 중 여성이 36%…5급 이상 관리자는 14%

지방공무원 중 여성이 36%…5급 이상 관리자는 14%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7-29 12:02
업데이트 2018-07-29 1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급 이상 여성은 30%…행안부 “향후 여성관리자 비율 대폭 증가할 것”

다음달 18일 전국에서 ‘2018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채’ 필기시험이 치러진다. 사진은 지난해 실시된 지방공무원 7급 공채 필기시험에서 한 응시생이 입실에 앞서 유의사항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 DB
다음달 18일 전국에서 ‘2018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채’ 필기시험이 치러진다. 사진은 지난해 실시된 지방공무원 7급 공채 필기시험에서 한 응시생이 입실에 앞서 유의사항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 DB
지방공무원 중 36%가 여성이며 5급 이상 관리자 중 여성은 13.9%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행정안전부가 펴낸 자치단체 여성공무원 인사통계(2017년) 책자에 따르면 지방 여성공무원은 지난해 말 기준 113만17명으로 전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31만654명 중 36.4%를 차지했다.

17개 시·도 중 여성공무원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부산으로 공무원 중 40.9%가 여성이었다. 여성공무원 비중이 40%를 넘은 곳은 부산이 처음이다. 이어 서울 39.5%, 경기 38.7%로 여성 공무원 비중이 높았다.

5급 이상 여성 관리자는 3천137명으로 13.9%를 차지했다. 5급 이상 여성관리자 비율은 서울시가 21.8%로 가장 높았고 이어 광주(19.3%), 부산(18.7%) 등 순으로 나타났다.

기초자치단체 중에는 서울 영등포구의 5급 이상 여성 관리자 비중이 38.0%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 중구(33.8%), 부산 동래구(31.3%) 등 순으로 조사됐다.

4급 이상 여성 관리자는 295명, 8.5%로, 10년 전 108명, 3.9%와 비교해 4.6%포인트 증가했다.

기획·예산·인사·감사·실국 주무과 같은 부서의 여성 비율은 2007년 28.7%에서 39.7%로 11.0%포인트 늘었다.

6급 이상 여성 공무원 비율은 10년 전 11.8%에서 2017년에는 30.0%로 18.2%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7급 공채 합격자 중 여성은 39.6%로 전년보다 2.6%포인트 증가했다. 9급 공채 합격자 중 여성은 60.5%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해의 경우 공채시험에서 여성이 강세를 보이며 양성평등목표제에 따라 추가 합격한 남성(295명)이 여성(45명)보다 많았다.

행안부는 6급 이상 여성 공무원이 많이 증가해 상위직급인 5급 이상으로 승진할 기회가 늘고 있는 만큼 향후 여성 관리자 비율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서승우 행안부 자치분권정책관은 “자치단체 여성공무원들이 일과 가정의 양립을 통해 출산·육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관리자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행안부가 적극적으로 인사제도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