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주축이던 첫 세관… 공식 문서는 영문이었죠”

“외국인 주축이던 첫 세관… 공식 문서는 영문이었죠”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8-07-29 23:02
업데이트 2018-07-30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학으로 세관 뿌리 찾기 나선 김성수 인천본부세관 화물정보분석과장

박물관 전시된 문서 계기로 세관史 관심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장소 밝히기도
열정으로 시작… “어렵지만 공부라 생각”
이미지 확대
29일 관세청에서 김성수 인천본부세관 화물정보분석과장이 조선 세관 연구에 대한 인터뷰를 하고 있다.  관세청 제공
29일 관세청에서 김성수 인천본부세관 화물정보분석과장이 조선 세관 연구에 대한 인터뷰를 하고 있다.
관세청 제공
“1883년 우리나라 첫 공식 세관인 인천해관은 조선인이 아닌 10여개 나라에서 온 외국인들이 주축을 이뤘습니다. 이 때문에 공식 문서는 (한자나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생산될 수밖에 없었죠.”

독학으로 세관 뿌리 찾기에 나서고 있는 김성수(54) 인천본부세관 화물정보분석과장이 29일 들려준 개항 당시 조선 세관의 모습은 일반적인 예상과 많이 달랐다. 청나라 해관을 모델로 해외 경력자들이 조선으로 들어왔고 조선인은 이듬해부터 영어시험을 거쳐 채용됐다. 공식 문서에 남아 있음에도 그간 세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내용이다.

초기 세관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다. 김 과장은 “인천해관에서는 기상관측과 검역, 항만·등대 관리, 도로 측량, 우편사업 등 정부 업무를 대거 수행했다”면서 “근대화에 기여한 세관의 역할에 자부심을 갖는다”고 말했다.

세무대(4기)를 졸업하고 1986년 관세 공무원으로 입직해 32년째 근무 중인 그가 세관의 역사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은 우연이었다. 2006년 서울세관 근무 당시 박물관에 전시된 한 권의 낡은 문서 ‘Dispatch from chemulpo(제물포)’가 단초가 됐다. 1883~1885년 인천해관에서 지금의 관세청장에 해당하는 조정 총세무사에게 올린 영문 보고서다. 김 과장은 우리나라 세관 기록의 시초라 할 수 있는 250쪽짜리 문서를 사진으로 찍은 뒤 이를 타이핑해 책자로 만들고 번역했다.

조선 왕실이 인천해관을 통해 ‘마제은’을 상하이의 한 은행에 예치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마제은은 중국에서 제작된 말발굽 모양의 은화로 조선왕실에서 가치저장 수단으로 이용했다. 그는 “(왕실이) 왜 상하이 소재 은행에 마제은을 입금했는지 이유를 밝혀낼 자료를 수집 중”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사실도 알게 됐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장소를 두고 인천 화도진과 중구 파라다이스호텔 주차장 터, 제3의 장소 등으로 의견이 나뉘었다. 하지만 김 과장이 개항 당시 제물포 지역 지도를 발굴한 덕분에 조약 체결 장소가 옛 라파치아 웨딩홀 터였다는 사실을 인정받았다.

그는 해관사료 연구와 관련해 국내에 남아 있는 자료가 부족한 것에 대해 아쉬움을 피력했다. 우연히 중국에서 초기 문서 97권의 존재를 확인하고 방문 계획을 세웠지만 ‘사드 문제’로 무산됐다. 1905년 외국인 세관원들이 해관을 떠나면서 가져간 문서들로 추정된다.

그의 세관 뿌리 찾기 노력은 조직의 지원이나 보상 기대 없이 오로지 ‘역사 바로 세우기’라는 열정만으로 진행 중이다. 김 과장은 “조선 세관 연구는 매우 번거롭고 어렵지만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임하기에 큰 부담은 없다”면서 “우리나라 세관의 다양한 사건·사고에 대한 기록을 만들고 싶다”고 전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8-07-30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