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선체조사위, 세월호 참사 원인 결론도 따로따로…두 가지 안 담은 종합보고서 채택

세월호 선체조사위, 세월호 참사 원인 결론도 따로따로…두 가지 안 담은 종합보고서 채택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8-08-03 17:51
업데이트 2018-08-03 18: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일 국회와 대통령에게 최종 종합보고서 제출 뒤 활동 종료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가 마지막 회의에서도 세월호 침몰 원인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선조위는 ‘배 자체의 결함’과 ‘외력 등 다른 가능성’을 담은 두 가지 보고서를 함께 담은 종합보고서를 내놨다. 선조위는 오는 6일 국회와 대통령에게 최종 종합보고서를 보고하고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지난 1년여 간의 선조위 활동도 이날 종료된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는 3일 서울 중구 서울사무소에서 제31차 전원위원회를 열고 그간의 조사내용을 담은 종합보고서를 채택했다. 마지막 회의까지 선조위원들의 의견이 “악화된 복원성 등 배 자체의 결함으로 침몰했다”는 주장과 “외력 등 다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주장이 3대3으로 팽팽하게 대립하면서 두 가지 안이 종합보고서에 함께 담겼다.

이날 선조위에 따르면 지난 4월 출범한 외력검증 태스크포스(TF)는 세월호 침몰 원인으로 제기된 외부충격설을 공식 조사해왔다. 그간의 TF의 조사 결과 세월호 좌현의 핀안정기(배의 균형을 잡아주는 시설)가 정상각도보다 25도 이상 돌아가 있다는 점, 세월호 블랙박스 복원 결과 참사 당시 급격한 우선회를 하기 직전부터 두세 차례의 출렁거림이 확인된 점 등이 새롭게 드러났다. 핀 안정기실 내부 점검 결과 큰 변형이 확인되기도 했다. 기존의 복원성 불량이나 조타 미숙 등 기존의 침몰 원인으로 지적돼온 이유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사실들이 확인된 것이다.

이에 따라 TF가 지난달 31일 선조위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과학적 접근법을 통해 검증한 결과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외력의 가능성을 확인했고 배제의 이유는 찾지 못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외부충격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을 뿐, 어떤 충격이었는지는 단정짓지 않았다. 다만 선조위의 일부 위원들이 외력 가능성을 인정함에 따라 향후 현재 활동 중인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2기 특조위)’의 추가 조사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하지만 이날 회의에서 나머지 선조위원들이 여전히 ‘외력 등 다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주장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세월호 침몰 원인에 대한 결론은 2기 특조위의 몫으로 남겨지게 됐다. 선조위는 6일 세월호 침몰 원인에 대한 최종 종합보고서를 2기 특조위에 넘기고 활동을 종료하게 된다. 이후에는 2기 특조위에서 세월호 사고 원인과 진상규명 조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