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태풍 ‘솔릭’…정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다가오는 태풍 ‘솔릭’…정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8-21 16:48
업데이트 2018-08-21 16: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모든 공공기관, 비상대비체계 가동…시·도에 현장상황관리관 파견

제19호 태풍 ‘솔릭’이 한반도에 접근함에 따라 정부가 2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범정부적 대응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후 5시 긴급대책회의를 열어 태풍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단계’로 격상하고 오후 6시를 기해 태풍 대비 중대본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이날 제주도를 시작으로 각 시·도에 현장상황관리관을 파견한다. 모든 공공기관은 태풍 대비 비상대비체계를 가동한다.

회의에서는 댐과 저수지 관리를 위해 예비방류 상황을 확인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배수펌프장과 수문 시설을 댐 방류 상황과 연계해 관리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또 높은 파고와 강풍에 대비해 수산·농업시설 안전대책을 사전에 시행하고 농·어업인들이 태풍 때 시설관리를 위해 외출하는 일을 삼가도록 홍보도 강화하기로 했다.

강풍으로 인한 송·변전 및 배선설비 고장이 없도록 설비 점검을 철저히 하고 국지적으로 정전이 발생할 때를 대비해 긴급 복구 지원체계도 마련한다.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건물 외부 간판과 공사 현장의 타워크레인, 태양광시설 고정작업도 철저히 할 것을 지시했다.

산사태 위험지역과 급경사지에는 배수시설 정비와 대피계획을 수립하고 관광객이 많은 국립공원과 해안가, 침수가 우려되는 도로는 사전에 통제한다.

대규모 피해가 발생할 경우 지자체의 초기 대응과 신속한 수습을 지원하기 위해 민간전문가와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중앙수습지원단을 즉시 파견할 계획이다.

김부겸 행안부 장관은 “6년만에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하는 만큼 긴장을 늦추지 말고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면서 “그 동안 운영된 범정부 폭염대책본부를 태풍 대비 중대본 체제로 신속하게 전환해 태풍 대비에 누수가 없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강한 중형급 태풍인 ‘솔릭’은 22일 오전 제주 서귀포 남쪽 해상, 23일 오전 전남 목포 앞바다를 통과해 서해안을 거쳐 한반도에 상륙한 뒤 24일 오전 강원도 속초 부근 육상을 지날 것으로 보인다.

‘솔릭’은 2010년 17명의 사상자와 1천760억원의 재산피해를 낸 ‘곤파스’와 유사한 경로로 한반도를 지날 것으로 예상돼 큰 피해가 우려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