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호소 1주년’ 울분 쏟은 학부모들 “특수학교 합의 철회”

‘무릎호소 1주년’ 울분 쏟은 학부모들 “특수학교 합의 철회”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9-05 14:24
업데이트 2018-09-05 14: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특수학교 대신 한방병원 건립협조’ 합의에 “기피시설로 인식되게 해”

“집 짓는 데 와서 다른 곳으로 이사하라고 행패 부리면 다른 땅 줄 테니 눈 감아달라고 할 것인가.”
특수학교 설립합의 철회 요구하는 장애학생 부모들
특수학교 설립합의 철회 요구하는 장애학생 부모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와 서울특수학교학부모협의회, 전국통합교육학부모협의회가 5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지난 4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 ‘강서 특수학교 설립반대 비상대책위원회’가 맺은 ‘특수학교 설립합의’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2018.9.5
연합뉴스
장애학생 부모들이 특수학교 설립을 호소하며 무릎 꿇은 지 꼭 1년째 되는 5일 다시 거리로 나와 울분을 쏟아냈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와 서울특수학교학부모협의회, 전국통합교육학부모협의회는 이날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에게 ‘강서 특수학교(서진학교) 설립합의’를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조 교육감 사퇴도 요구했다.

조 교육감과 강서을이 지역구인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 ‘강서 특수학교 설립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김 의원과 비대위가 서진학교 설립에 협조하는 대신 교육청은 지역숙원사업인 국립한방병원 설립에 협조한다는 취지의 합의를 맺었다.

장애학생 부모들은 “의무교육기관인 특수학교는 결코 기피시설이 아님에도 ‘대가성 합의’를 맺어 기피시설처럼 인식되게 했다”면서 “설립예정인 서초구 나래학교와 중랑구 특수학교에 나쁜 선례를 남겼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어리석은 거래로 장애가족 자존심이 무참히 짓밟혔다”면서 “교육감이 두려워해야 할 사람은 국회의원도 비대위도 아닌 장애를 가진 학생과 그 가족들”이라고 강조했다.

기자회견 후 장애학생 부모 대표들은 교육감을 만나 전날 합의에 대해 따졌다.

장애학생 부모 대표들은 조 교육감에게 교육청이 특수학교 설립에 반대한 김성태 의원 등과 합의를 추진한 배경과 합의추진 사실을 장애학생 부모들에게 알리지 않은 이유 등을 물었다.

참석자에 따르면 조 교육감은 “장애학생 부모도 합의를 환영할 줄 알았다”면서 “실무진이 장애학생 부모와 소통하는 줄 알았다”는 취지로 답했다.

조 교육감은 언론이 이번 합의를 비판적인 시각으로만 바라본다고도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장애학생 부모 대표들과 조 교육감 만남에서는 언쟁도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5일 서울 강서구 탑산초등학교에서 강서지역 특수학교 설립 교육감-주민토론회가 열렸다. 지역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 속에 장애인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무릎을 꿇고 호소했다. 2017.9.5.  JTBC 페이스북
5일 서울 강서구 탑산초등학교에서 강서지역 특수학교 설립 교육감-주민토론회가 열렸다. 지역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 속에 장애인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무릎을 꿇고 호소했다. 2017.9.5.
JTBC 페이스북
5일 서울 강서구 탑산초등학교에서 강서지역 특수학교 설립 교육감-주민토론회가 열렸다. 지역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 속에 장애인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무릎을 꿇고 호소했다. 2017.9.5.  JTBC 페이스북
5일 서울 강서구 탑산초등학교에서 강서지역 특수학교 설립 교육감-주민토론회가 열렸다. 지역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 속에 장애인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무릎을 꿇고 호소했다. 2017.9.5.
JTBC 페이스북
특수학교 설립을 호소하며 무릎 꿇은 장애학생 부모들. 연합뉴스TV 캡처
특수학교 설립을 호소하며 무릎 꿇은 장애학생 부모들. 연합뉴스TV 캡처
만남이 길어지면서 예정됐던 ‘서울 특수교육 혁신을 위한 교육감 간담회’는 30분가량 늦게 시작했다. 간담회는 지난해 장애학생 부모들이 특수학교 설립을 무릎 꿇고 호소한 일을 기념하고자 마련됐다.

조 교육감은 “특수학교 설립에 반대하는 국회의원·주민도 학교설립에 동의하도록 합의를 끌어내고자 노력했다”면서 합의추진을 학부모에게 알리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죄송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수학교 설립은 물론, 전날 합의 역시 “출발점에 장애학생 부모들의 헌신이 있었다”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년 9월 1일 서진학교가 개교하는 것으로, 앞으로 과정을 잘 점검하겠다”고 약속했다.

전날 합의로 ‘특수학교가 설립되면 대가가 주어진다’는 ‘나쁜 선례’가 만들어졌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조 교육감은 “지난해 ‘무릎 호소’로 특수학교 설립을 이전보다 더 지원하자는 합의가 생겼고 정책도 마련됐다”면서 “동일한 합의가 반복되지 않을까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김남연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장은 “특수학교가 필요한 이유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통합교육이 안 되기 때문”이라면서 “통합교육이 제대로 이뤄진다면 지금 설립이 추진되는 학교 외 특수학교가 더 필요 없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조 교육감이 역대 교육감 가운데 가장 많이 특수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배려한 것은 맞다”면서도 “장애학생 부모들은 전날 합의를 받아들이기 어려우며 소통도 없어서 문제가 됐다”고 지적했다.

장애학생 부모들과 서울시교육청은 곧 전날 합의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5~7월 운영한 서울특수교육발전추진단 운영결과도 발표됐다. 여기에는 내년 전국 최초로 ‘장애학생 종합지원 코디네이터’를 도입하겠다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