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증하는 디지털 성범죄…몰카 등 심의건수 해마다 곱절

폭증하는 디지털 성범죄…몰카 등 심의건수 해마다 곱절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9-30 11:04
업데이트 2018-09-30 1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심위 1~7월 7천648건 심의…신용현 “디지털 성범죄 정보 유통 원천 차단해야”

이른바 ‘몰카’ 등 인터넷에서 유통되는 디지털 성범죄물이 만연하면서 관련 기관이 심의에 나서는 건수가 해마다 2배씩 늘어날 정도로 급증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몰카를 적발하라’
‘몰카를 적발하라’ 6일 오전 인천시 미추홀구 인하대학교에서 인하대와 미추홀경찰서 관계자들이 여자샤워실 내 ‘몰래카메라’를 수색하고 있다. 2018.9.6
연합뉴스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신용현 의원(바른미래당)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방심위의 올해 1~7월 디지털 성범죄 정보 심의 건수는 7천648건에 달했다.

이 중 접속차단 7천461건, 삭제 106건 등 모두 7천567건에 대해 조치가 이뤄졌다.

방심위의 디지털 성범죄 심의 건수는 2014년 1천807건에서 2015년 3천768건, 2016년에는 7천356건으로 해마다 거의 2배씩 늘었다. 위원 선임 지연으로 약 7개월 동안 업무 공백 기간이 있었던 지난해에는 2천977건을 기록했다.

올해는 1∼7월만 해도 이미 2016년 전체를 넘어섰으며 현재 추세로는 연말까지 1만 건을 훌쩍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방심위는 사용자 신고 등으로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접수되면 해외사이트는 접속차단, 국내 사이트는 삭제 등 조치를 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디지털성범죄대응팀을 신설해 몰카 등 성(性)과 관련한 불법촬영물, 초상권 침해정보를 전담시키고 있다.

불법 유통 촬영물 등 디지털 성범죄 관련 정보의 고유값을 추출, P2P·웹하드 사업자 등에 제공해 해당 정보의 업로드를 원천 봉쇄하는 ‘DNA 필터링’ 계획도 추진 중이다.

신 의원은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디지털 성범죄 정보 유통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과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