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달만 70만원… 2030은 청첩장이 무섭다

이번 달만 70만원… 2030은 청첩장이 무섭다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8-10-02 22:20
업데이트 2018-10-02 2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결혼 많이 하는 5월·10월마다 골머리

“취준생은 축의금 내면 밥값도 없어”
“돈 대신 작은선물 주는 문화로 바꿔야”
이미지 확대
“10월 한 달 결혼 축의금만 70만원이 나가게 생겼네요. 한 달 용돈이 50만원인데….”

대학 졸업 후 정규직 취업 준비만 7년째인 김모(30)씨는 “요즘 청첩장을 5장이나 받았는데 관계를 생각하면 2명에게는 20만원씩, 나머지 3명에게는 10만원씩은 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어 “5월과 10월만 되면 축의금 때문에 허리가 휠 지경”이라고 토로했다.

1년 중 결혼을 가장 많이 하는 10월에 접어들면서 김씨처럼 거액의 축의금을 내기가 부담스럽다고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특히 취업준비생이거나 갓 취업한 직장 초년생 등 ‘2030청년층’의 비명이 유난히 더 크게 들려온다.

“잘 지내지? 나 결혼한다.” 최근 대학 친구로부터 한 통의 문자메시지를 받은 취업준비생 김모(28)씨는 “축하한다”는 답장을 보냈지만 마음 한켠에 부담감이 파도처럼 밀려왔다. 올해 안에 취업한다는 목표로 아르바이트도 안 하고 부모님으로부터 받는 용돈 40만원으로 생활하는 처지에 축의금 낼 생각을 하니 앞이 캄캄해진 것이다. 김씨는 “대학생 때는 축의금을 조금 내도 다들 ‘아직 학생이니까 괜찮아’라는 분위기가 있었지만 대학을 졸업하고 나니 축의금을 내는 게 눈치가 보이더라”면서 “친한 친구라 10만원은 내야 할 것 같은데 당장 다음주 식비가 걱정된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취준생 황모(27)씨는 “결혼식장에 가서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이 ‘요즘 뭐하냐’고 물으면 꿀 먹은 벙어리가 된다”면서 “축의금 3만원을 내는 것도 벌벌 떠는 내 모습에 초라해지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갓 취업한 직장인도 고액의 축의금이 부담되기는 마찬가지다. 공무원 배모(32)씨는 공무원인 지인 결혼식에 축의금으로 얼마를 내야 할지 고민에 빠졌다. 배씨는 “청탁금지법에 따라 경조사비가 공직자 사이에는 5만원으로 정해져 있는데 누가 봉투를 열어 보는 것도 아니고, 5만원만 냈다간 야박하다는 소리를 들을까 봐 최소 10만원은 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직장인 이모(34)씨는 지방에서 열리는 지인의 결혼식 때문에 휴일을 반납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이씨는 “KTX 왕복 비용에 축의금까지 더하면 20만원은 깨질 것 같다”고 말했다.

이준영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축의금이 축하의 의미보다 준 만큼 돌려받는다는 거래 개념으로 인식되는 현실이 문제”라면서 “외국처럼 돈 대신 작은 선물을 주는 쪽으로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18-10-03 1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