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곳 중 1곳이 라돈 권고 기준 초과

전국 5곳 중 1곳이 라돈 권고 기준 초과

입력 2018-10-19 13:41
업데이트 2018-10-19 1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라돈측정기
라돈측정기
전국 5곳 중 1곳이 라돈 권고 기준(200Bq/㎥)을 초과하고, 68%가 단독주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문진국 자유한국당 의원은 한국환경공단에서 제출받은 ‘라돈 무료 측정 및 저감 컨설팅 사업’ 관련 국정감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또 문 의원은 한 해 100기 이상의 라돈측정기가 미회수 돼 매년 1000만원 이상의 손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7년간(2012-2018) 전국 7882곳을 대상으로 한국환경공단이 라돈 수치를 측정한 결과 21%에 달하는 1666곳이 라돈 평균농도(200Bq/㎥)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원도가 885곳 중 319곳(36%)으로 가장 높았으며, 울산광역시 58곳 중 3곳(5%)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거주형태별로는 단독주택이 1129가구(68%)로 가장 많았고 마을회관 201개(12%), 다세대주택 183가구(11%), 연립주택 93가구(6%), 아파트 60가구(4%)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환경공단이 주민복지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라돈 저감관리 지원 사업은 장비회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폐기되거나 사라진 측정기기는 370개다. 2017년에는 116개, 2018년에는 126개가 폐기되거나 미회수됐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