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상 또 불허한 국민대… 학생들 “끝까지 세운다”

소녀상 또 불허한 국민대… 학생들 “끝까지 세운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18-11-02 16:53
업데이트 2018-11-02 18: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교 “정치적 쟁점... 학내 찬반도 갈려”
세움 측 “이달 안에 설치... 불허 근거 없어”
이미지 확대
국민대 재학생들이 만든 평화의 소녀상. ‘세움’ 제공
국민대 재학생들이 만든 평화의 소녀상. ‘세움’ 제공
국민대가 서울 성북구 교내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소녀상 설립을 결국 불허하기로 했다. 소녀상 건립을 추진해 온 국민대 소녀상건립추진위원회 ‘세움’ 측은 “소녀상을 11월 내에 세운다는 목표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세움’ 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국민대 본부는 세움 측에 학내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불허한다는 내용을 전화통보했다. 이에 대해 ‘세움’ 은 2일 서울 성북구 국민대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본부가 소녀상을 정치적 이슈로 매도하며 건립을 가로막고 있다”면서 학교를 규탄했다

이태준(27·정치외교학과) 세움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정의로운 역사를 세우는 데 학교본부와 함께하기를 기대하며 지난 9월부터 50일간 공문, 자료, 조감도도 보냈는데 돌아온 대답은 소녀상 건립 불허뿐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광복 73주년을 맞고도 소녀상이 왜 아직도 정치 이슈로 매도당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면서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해 세우려는 소녀상을 놓고 어떻게 정치적이라고 말할 수 있느냐”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국민대 관계자는 “정치적으로 쟁점화되는 소녀상 설치 문제를 놓고 학내 구성원의 찬반여론이 있는 현시점에서는 설치를 불허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국민대는 지난 9월에도 “국제적 교류와 연구 활동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특정국가에 대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소녀상 설치는 허가할 수 없다”며 반대했다.

이태준 대표는 “위안부 문제를 두고 찬반 논쟁보다는 문제 해결을 위한 의미가 우선시 되는게 중요하다고 본다”면서 “학내 민주화 운동 비석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만큼, 소녀상에 대해 학교가 불허할 근거도 없다”고 반박했다.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계기로 지난 4월 닻을 올린 세움은 6개월동안 1800만원을 성금으로 모았고 디자인부터 제작까지 학생들 손으로 소녀상 건립을 준비해왔다. 이어 본격적으로 위안부 소녀상을 건립하기 위한 모금 활동에 나섰다. 국세청에는 2019년까지 모금해 2020년까지 사용하겠다는 ‘모금액 사용 계획안’을 냈고 소녀상 건립 비용이 예상보다 빨리 모금돼 건립을 올해 내로 앞당겨 추진했다.

학생들이 만든 소녀상은 이미 완성된 상태로 현재 주물공장에 보관하고 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