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군으로 경찰관으로… 나라 지킨 애국자 15명 발굴

광복군으로 경찰관으로… 나라 지킨 애국자 15명 발굴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8-12-02 22:20
업데이트 2018-12-02 2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 광복군 독립유공자 전수조사

일제 강점기 나라를 되찾기 위해 싸웠던 광복군 중 15명이 광복 후 경찰관으로 해방 조국의 치안을 지키기 위해 활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은 광복군 독립유공자 567명을 전수조사한 결과, 앞서 이미 확인된 3명을 포함해 모두 15명이 광복군 출신이었다고 2일 밝혔다.

경남 부산경찰서 등에서 근무한 백학천(왼쪽) 경위는 일제 강점기 만주 국경지대에서 위화청년단을 조직해 1931년 일본 경찰 주재소를 습격했다가 체포돼 1년간 복역했다. 이후 1944년 광복군에 입대해 지하공작원으로 활동했다. 1949년 경찰에 입문해 1954년까지 근무했다. 1949~54년 경남 동래서에서 근무한 김학선 경사는 조선의용대 출신으로 1942년 광복군에 편입돼 항일 활동을 이어 갔다.

27대 치안국장을 지낸 장동식(오른쪽) 치안총감은 1943년부터 광복군 정보장교로 복무하며 일본군 내 한국인 병사 탈출공작과 정보수집 업무 등을 수행했다. 충남 대전서에서 근무한 백준기 경위는 1943년 광복군에 입대해 초모공작(모병), 정보수집, 적 후방 교란 등 활동에 참가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 전신인 전략첩보국(OSS)에서 훈련받던 중 광복이 이뤄졌고, 6·25전쟁 때 전사했다.

일본군으로 징집됐다가 탈출해 광복군에 합류한 이들도 많았다. 경북 경주·영주서에서 근무했던 권구원 경감은 1944년 9월 징집됐다가 이듬해 1월 탈출 후 광복군에 입대했고, 경남 진해서장을 지낸 김기도 총경도 학도병으로 징집됐다가 중국에서 탈출해 1944년 12월 광복군이 됐다.

경찰 관계자는 “지금까지 확인된 독립운동가 출신 경찰관은 모두 26명”이라며 “앞으로도 지속 발굴해 널리 알리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8-12-03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