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현동 철거민이 갈 곳은 한강뿐이었다”

“아현동 철거민이 갈 곳은 한강뿐이었다”

김정화 기자
입력 2018-12-05 17:56
업데이트 2018-12-06 09: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전철협 “서울시 철거민정책공청회 즉각 개최해야”
전철협 “서울시 철거민정책공청회 즉각 개최해야” 전국철거민협의회 회원들이 5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시 측에 철거정책공청회 개최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8.12.5 연합뉴스
“강제집행으로 쫓겨난 철거민에게 갈 곳은 한강뿐이었습니다.”

빈민해방실천연대, 용산참사진상규명위원회는 5일 서울 마포구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아현2 재건축구역 철거민의 죽음은 사회적 타살”이라고 주장했다. 재건축 사업이 진행 중인 마포구 아현2 재건축 구역 철거민인 박준경(37)씨는 지난 4일 한강에 투신해 목숨을 끊었다.

이들 단체는 이날 박씨의 유서를 공개했다. 박씨는 유서에서 “아현동에 월세로 어머니와 살고 있었는데 3번의 강제집행으로 모두 빼앗기고 쫓겨났다. 추운 겨울에 씻지도 먹지도 자지도 못하고 갈 곳도 없다”면서 “3일간 추운 겨울을 길에서 보냈고 내일이 오는 것이 두려워 자살을 선택한다”고 밝혔다. 이어 “어머니께는 임대 아파트를 드려 저처럼 되지 않게 해 달라”고 덧붙였다. 박씨는 어머니와 함께 마포구 아현동에 살다 지난 8~9월 진행된 두 차례의 강제집행 이후 거주할 곳을 잃고 철거민들이 모여 살던 빈집에서 3개월가량 생활했다. 그러다 지난달 30일 강제집행을 당해 다시 쫓겨났다.

전국철거민연합 남경남 의장은 “용산 참사 10주기를 한 달 정도 남기고 발생한 이번 사망 사건은 ‘살인 개발’이 아직도 자행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면서 “용역들이 폭력을 행사하고 소화기를 난사하는 아현동 철거 현장에서 철거민들을 보호한 건 아무것도 없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18-12-06 1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