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미필자도 경찰시험 응시 가능…경찰, 채용제도 개선키로

군 미필자도 경찰시험 응시 가능…경찰, 채용제도 개선키로

신성은 기자
입력 2018-12-26 09:34
업데이트 2018-12-26 09: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공무원법 개정안 입법예고

이미지 확대
22일 서울 동작구 노량진에 위치한 한 경찰시험 학원에서 공시생들이 휴일도 없이 나와 자습을 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22일 서울 동작구 노량진에 위치한 한 경찰시험 학원에서 공시생들이 휴일도 없이 나와 자습을 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병역 의무를 마치기 전이라도 경찰공무원 채용시험 응시 자격을 주는 쪽으로 법 개정 절차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경찰 채용시험 응시자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26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남성 중 군 미필자도 경찰 채용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채용공고에서 ‘군필자’ 자격요건을 삭제하기로 하고 관련법인 경찰공무원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현재 국가·지방직이나 소방 등 대다수 공무원 채용시험에는 군필자 요건이 없어 병역 미필자도 응시할 수 있지만, 경찰청,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경호처 등 일부 기관은 군필 요건을 유지해 왔다.

앞서 2005년 국가인권위원회도 경찰공무원 채용시험 응시자 중 남성의 요건을 군복무나 면제 등 ‘병역을 필한 자’로 제한하는 것은 차별이라며 채용 관행을 개선하라고 경찰청장에게 권고한 바 있다.

경찰은 채용시험에 합격한 채용후보자 명부 유효기간 2년에 병역법에 따른 군복무 기간을 포함하지 않는 쪽으로 경찰공무원법을 개정해 관련 근거를 마련할 방침이다. 개정안은 법제처 심사와 국무회의 상정, 대통령 재가 등 절차를 거쳐 내년 4월께 공포될 것으로 예상된다.

법 개정 절차가 완료되면 고등학교 졸업 후에도 바로 경찰공무원 채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합격 후 정식 임용 전 채용후보자 신분으로 먼저 군복무를 마칠 수 있고, 경찰관으로 근무하다 병역통지서가 나오면 군 휴직으로 병역 의무를 이행해도 된다.

이는 경찰대 개혁과 함께 향후 개별적으로 병역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 경찰대생들의 군복무 방식에도 적용될 전망이다. 경찰은 경찰대생들이 재학 중 휴학하고 군복무를 마치는 방법 외에 졸업 후 경위로 임용되고 나서 휴직계를 내고 현역병이나 보충역, 학사장교로 복무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