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수 작년 사망 확인… 檢, 은닉 재산 추적

정태수 작년 사망 확인… 檢, 은닉 재산 추적

나상현 기자
입력 2019-07-04 23:34
업데이트 2019-07-05 0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에콰도르 통해 검증·장례 영상 등 확보

150여페이지 육필 유고 단서로 분석 중
무연고자로 장례식… 비용 105만원 들어

IMF 외환위기의 서곡으로 평가되는 이른바 ‘한보 사태’의 장본인인 정태수(1923년생) 전 한보그룹 회장의 사망 사실을 검찰이 최종 확인했다. 그는 교비 횡령 혐의로 재판을 받던 2007년 출국해 11년간 해외를 떠돌다 지난해 말 남미의 에콰도르에서 생을 마감했다. 검찰은 정 전 회장이 남긴 150여 페이지의 육필 유고 등을 단서로 해외 은닉 재산 추적에 나섰다.

서울중앙지검 외사부(부장 예세민)는 정 전 회장이 지난해 12월 1일 에콰도르 과야킬에서 95세로 사망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사인은 만성신부전. 다른 사람의 신분을 빌려 살았기에 ‘무연고자’로 치러진 그의 장례식은 과야킬에서 함께 살았던 넷째 아들 정한근 전 한보그룹 부회장과 한국인으로 추정되는 지인들이 지켰다. 한때 재계 14위 그룹을 이끌었던 정 전 회장의 장례 비용은 900달러(약 105만원)에 불과했다.

21년 해외 도피 끝에 파나마에서 붙잡힌 정 전 부회장이 지난달 22일 국내로 송환된 직후 “아버지가 에콰도르에서 사망했다”고 진술하면서 검찰은 검증 작업을 벌였다. 검찰은 정 전 부회장이 소지하고 있던 정 전 회장의 사망확인서와 유골함, 노트북에 담긴 사망 사진과 장례식 영상 등을 토대로 정 전 회장이 사망했다고 결론지었다. 검찰 관계자는 “에콰도르 내무부와 외교부로부터 사망확인서가 진본이라는 사실을 확인받았다”며 “정 전 부회장이 국내 체류 중인 형에게 아버지의 사망 사실을 알린 것도 확인됐다”고 말했다.

정 전 회장은 당초 알려진 바와 다르게 2007년 일본이 아닌 말레이시아로 출국해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을 거쳐 2010년 7월 고려인으로 추정되는 1929년생 ‘츠카이 콘스타틴’(TSKHAI KONSTANTIN) 명의로 허위 여권을 발급받아 에콰도르로 출국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정 전 회장이 과야킬 인근에서 유전개발 사업을 진행하려고 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나아가 검찰은 정 전 회장이 남긴 150여 페이지의 육필 유고를 확보했다. 자서전 발간을 위해 해외 출국 직후부터 정 전 회장이 직접 작성한 원고엔 과거 사업하던 시절 이야기가 주로 적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육필 원고에 해외 은닉 재산에 관한 단서가 남아 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분석 중이다.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19-07-05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