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서울 잠원동에서 철거중인 건물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소방관들이 현장을 수습하고 있다. 2019. 7. 4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최근 경찰 조사에서 현장 소장과 공사 인부들은 “철거공사 감리인이 공사가 시작된 이후 현장에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감리인 정모씨(87)는 감리보조로 등록한 자신의 친동생(73)이 사고 당일 현장에 있었다고 주장 중이다.
경찰은 감리보조가 정말 현장에 있었던 것인지, 또 감리인 없이 감리보조만으로도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앞서 서초구는 지난달 해당 건물 철거공사에 대한 심의를 진행하면서 현장에 감리자가 반드시 상주하는 조건으로 허가한 바 있다.
서초구는 정씨가 동생에게 감리보조를 맡겼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경위를 파악 중이다. 서초구 관계자는 “(공사를 허가하면서) ‘감리인이 현장에 상주할 것’이라는 조항을 항상 넣는데 감리보조라는 직책은 처음 듣는다”고 말했다.
한편 공사 관계자들은 해당 건물의 붕괴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건축주와 건축업체 등이 모인 카카오톡 대화방에서는 사고 직전 ‘건물이 흔들리는 징후가 보인다’는 내용의 대화가 오간 사실이 확인됐다. 해당 대화방에서 건물의 이상 현상이 언급된 지 약 20분 뒤에 실제로 붕괴사고가 발생했다.
경찰은 공사 관계자들이 건물이 붕괴될 조짐을 눈치채고도 묵인한 건 아닌지 조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건축업체 관계자가 현장을 자주 드나들며 철거 상황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며 “사고와 관련해 중요한 사정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건축주와 건축업체의 경우 이들에게 철거 공사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은 없다.
1996년 준공된 잠원동 건물은 지난 6월 29일부터 철거공사가 시작됐다. 이달 10일 완료 예정이었으나 공사 6일째인 지난 4일 붕괴사고가 일어났다. 이로 인해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다쳤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