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유학생 3만1천명 한국 입국 보류…상당수 휴학할 듯

중국인 유학생 3만1천명 한국 입국 보류…상당수 휴학할 듯

신성은 기자
입력 2020-03-10 14:00
업데이트 2020-03-10 14: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월 28일 한중 ‘유학생 출입국 자제’ 합의 후 입국 취소 비율 80% 달해

이미지 확대
5일 오전 대전대학교 생활관에서 2주간의 격리 생활을 마친 중국인 유학생들이 생활관을 나서며 발열검사를 받고 있다. 2020.3.5 뉴스1
5일 오전 대전대학교 생활관에서 2주간의 격리 생활을 마친 중국인 유학생들이 생활관을 나서며 발열검사를 받고 있다. 2020.3.5
뉴스1
국내 대학에 다니는 중국인 유학생의 45%가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한국 입국을 보류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교육부에 따르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6만7천876명 가운데 3만955명(45.6%)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건너오지 않은 상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 학생들이 이번 학기에 휴학할지, 아니면 코로나19가 진정한 이후 입국할지는 아직 가늠할 수 없는 상태”라면서 “중국인 유학생 가운데 휴학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는 추후 집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직 입국하지 않은 중국인 유학생의 상당수는 이번 학기에 휴학하거나 온라인으로 수업을 들을 전망이다. 교육부 지침에 따라 대학은 유학생들에게 휴학을 권고하고 온라인 수업을 제공하기로 했다.

한중 양국 교육부는 지난달 28일 유학생 출입국을 서로 자제시키자고 합의했다.

교육부는 합의 이튿날인 지난달 29일부터 3월 7일 사이에 애초 중국인 유학생 6천230명이 입국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1천327명(21.3%)만 입국했다고 밝혔다.

입국을 계획했던 중국인 유학생의 약 80%가 입국을 취소한 것이다.

3월 3일 이후로는 입국한 중국인 유학생 수가 하루 수십 명대로 떨어졌다.

3일에 59명, 4일 33명, 5일 67명, 6일 69명, 7일 48명이 입국했다. 같은 기간 입국 취소 비율은 매일 70∼80%였다.

현재까지 국내에 입국한 중국인 유학생 가운데 확진 판정을 받은 학생은 1명으로 알려졌다. 강릉 가톨릭관동대 학생으로, 삼척의료원에서 치료를 받고 지난 9일 퇴원했다.

이번 겨울 방학에 중국을 다녀온 중국인 유학생은 2만5천904명이다. 이 중 2만409명(78.8%)은 2월 말 이전에 입국해 기숙사·원룸 등에서 자율 격리를 마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