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련님’ 대신 이름 불러도 돼”…국립국어원 호칭 안내서 발간

“‘도련님’ 대신 이름 불러도 돼”…국립국어원 호칭 안내서 발간

이보희 기자
입력 2020-04-02 11:31
업데이트 2020-04-02 1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뭐라고 부를까요?’
‘우리, 뭐라고 부를까요?’ 국립국어원 제공
국립국어원은 2017년 진행한 실태 조사와 정책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대에 대응한 언어 안내서 ‘우리, 뭐라고 부를까요?’를 펴냈다고 2일 밝혔다.

안내서는 특정한 호칭이나 지칭어를 반드시 써야 한다는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나 상황에 따라 상대를 배려하고 자유롭게 소통하자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특히 남녀 차별적인 호칭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춰 결혼한 여성이 남편 형제자매에게 사용하는 ‘도련님’, ‘서방님’, ‘아가씨’ 대신 각자 판단에 따라 다양하게 부르자고 제안했다.

안내서는 “남편 동생이 나이가 어리면 나에게도 동생이 되므로 ‘도련님’, ‘서방님’, ‘아가씨’로 높여 부르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며 “이럴 때는 자녀 이름에 삼촌이나 고모를 붙여 부르는 것이 가능하며, 친밀도나 집안 분위기에 따라 이름을 직접 부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배우자 동생이 나보다 나이가 많다면 ‘동생님’으로 부를 수 있다”며 남자라면 ‘처남님’이나 ‘처제님’이라는 호칭도 괜찮다고 했다.

그러면서 며느리와 사위 간에 서열과 나이가 뒤바뀐 경우에는 ‘동서님’이라는 호칭을 두루 써서 갈등을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내서는 친가와 외가 구분도 없앨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친’(親)과 ‘외’(外)라는 단어 대신 지역명을 붙여 ‘효자동 할머니’, ‘광주 할아버지’라고 부르자는 것.

여성이 본인 부모 집을 지칭하는 말인 ‘친정’에 대해서도 “지금은 결혼한 남자도 처가와 가깝게 지내기 때문에 남녀 구분 없이 모두 쓸 수 있는 말인 ‘본가’를 활용하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남성은 대화 상대가 배우자 부모보다 서열이 높지 않거나 나이가 많지 않다면 ‘장인’, ‘장모’라는 호칭 대신 ‘장인어른’, ‘장모님’, ‘아버님’, ‘어머님’으로 부르는 편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안내서에는 이외에도 부모와 자녀, 부부, 형제자매, 삼촌과 조카, 사돈, 직장 내 관계에 대한 언어 예절이 담겼다.

소강춘 국립국어원장은 ‘우리, 뭐라고 부를까요’는 정답이나 규범을 제시하는 게 아니라면서 “전통적인 호칭‧지칭어에 얽매어 굳이 치르지 않아도 될 갈등과 혼란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