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 온라인 개학 첫날부터…“원격교육 플랫폼 접속 안 돼요”

본격 온라인 개학 첫날부터…“원격교육 플랫폼 접속 안 돼요”

김태이 기자
입력 2020-04-16 10:28
업데이트 2020-04-16 1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표적 학습관리시스템 e학습터 접속 일부 지연…위두랑은 아예 접속 차단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 개학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 개학 전국 고등학교 1∼2학년, 중학교 1∼2학년, 초등학교 4∼6학년 총 312만여명이 온라인으로 개학한 16일 오전 서울 신동초등학교에서 한 교사가 쌍방향 온라인 수업을 하고 있다. 2020.4.16
연합뉴스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2차 온라인 개학일인 16일 교육 당국이 제공하는 원격교육 플랫폼들이 접속 지연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이날 오전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 산하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제공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 ‘e학습터’는 오전 9시 현재 일부 지역에서 연결이 매우 느리거나 접속이 어려운 상황이다.

학생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e학습터 서버 터졌다”, “e학습터 안 되니까 선생님이 복구될 때까지 자습하라고 문자 보냈다”, “출석 체크도 못 하고 있다”, “계속 로그아웃 당하고 있다” 등 불만을 쏟아냈다.

e학습터는 교사가 온라인 학급방을 만들어 학습자료를 공유하고 영상 수강 및 출석을 확인하는 데 쓰인다.

KERIS 관계자는 “권역별로 서버를 나눠놓았는데 서울과 대구 쪽 서버에서 잠깐 로그인 지연이 있었다”면서 “현재 실시간 모니터링 중이고 최대 동시 접속자가 68만명이지만 문제는 없는 상태”라고 해명했다.

KERIS에서 제공하는 학급 관리 플랫폼인 ‘위두랑’은 현재 아예 접속이 안 된다. 위두랑은 과제를 공지하는 등 알림장 기능으로 주로 쓰이고 일부 교사들은 원격수업 출석 체크에도 쓴다.

KERIS 관계자는 “위두랑은 점검할 사항이 있어서 점검하느라 잠깐 닫아놓았으며 오전 중에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며 “위두랑은 카카오톡, 밴드 같은 부가적인 프로그램이라서 선생님들이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된다”고 말했다.

EBS에서 제공하는 LMS인 ‘EBS 온라인클래스’는 비교적 접속이 원만한 상태지만, 강의 영상을 제공하는 ‘EBS 초등’, ‘EBS 중학’, ‘EBS 고등’ 등의 사이트가 조금 느린 모습을 보인다.

EBS 관계자는 “계속 모니터링 중이고 현재까지 별다른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전국 고등학교 1∼2학년, 중학교 1∼2학년, 초등학교 4∼6학년 총 312만여명이 16일 온라인으로 개학했다.

지난 9일 먼저 온라인 개학한 중3·고3 약 86만명을 합치면 이날 원격수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약 398만여명에 달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