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쇼핑 믿었는데…” 크릴오일의 배신 ‘12개 제품 부적합’

“홈쇼핑 믿었는데…” 크릴오일의 배신 ‘12개 제품 부적합’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0-06-09 14:14
업데이트 2020-06-10 15: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9일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크릴오일 41개 제품 가운데 12개에서 항산화제인 에톡시퀸, 추출용매(헥산, 초산에틸 등) 등이 기준을 초과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식약처 관계자들이 이날 서울 양천구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뉴스1
식품의약품안전처는 9일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크릴오일 41개 제품 가운데 12개에서 항산화제인 에톡시퀸, 추출용매(헥산, 초산에틸 등) 등이 기준을 초과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식약처 관계자들이 이날 서울 양천구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뉴스1
41개 제품 중 12개 제품
항산화제·사용금지 추출용매 검출
식약처, 전량 회수·폐기처분


건강기능식품으로 알려져 인기를 끌고 있는 크릴오일 제품 41개 중 12개에서 항산화제, 추출 용매 성분 등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식약처는 9일 시중에서 판매 중인 크릴오일 41개 제품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이 중 12개 제품에서 항산화제인 에톡시퀸과 추출용매 등이 기준을 초과해 검출됐다고 밝혔다.

남극해 크릴새우에서 추출, 혈관에 낀 기름때를 제거한다는 소문에 홈쇼핑과 온라인에서 불티나게 판매된 ‘크릴오일’ 제품. 식약처는 부적합 제품 전량을 회수·폐기하고, 이들 제품을 제조·수입·유통한 업체엔 행정처분과 함께 수사를 의뢰하기로 했다.

검사항목은 △에톡시퀸 △추출용매 5종(헥산, 아세톤, 초산에틸,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알콜) 등이다. 에톡시퀸은 수산용 사료에 항산화 목적으로 허가돼 있어 사료로부터 이행될 수 있는 양을 고려해 식품 중 갑각류, 어류 등에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추출용매의 경우 크릴오일을 얻어내기 위한 용매로 헥산과 아세톤은 사용할 수 있으나, 초산에틸·이소프로필알콜·메틸알콜은 사용이 금지돼 있다.

검사 결과 에톡시퀸 5개 제품과 추출용매 7개 제품 등 총 12개 크릴오일 제품이 기준치를 초과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기준치가 0.2mg/kg인 에톡시퀸의 경우 제품별로 0.5~2.5mg/kg가 검출됐다. 추출용매는 기름 추출에 사용할 수 없는 초산에틸이 3개 제품에서 15.7~82.4mg/kg, 이소프로필알콜은 2개 제품에서 각각 8.1 mg/kg, 13.7 mg/kg이 검출됐다. 사용 가능한 헥산의 경우 2개 제품에서 기준치(5 mg/kg)를 초과해 각각 51 mg/kg, 1,072 mg/kg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처는 부적합 제품 전량을 회수하고 폐기하기로 했다. 해당 제품은 △크릴100 △슈퍼쎈 크릴오일 △남극크릴오일 500 △클린 크릴오일 1200 △울트라맥스크릴오일 58 △블루오션 크릴오일 △크릴오일 △크릴오일 1000 △슈퍼 파워 크릴오일 56 △지노핀 크릴오일 △프리미엄 크릴오일 △뉴브리아 크릴오일 등이다. 다만 해당 제품들이 시중에서 얼마나 유통됐는지는 회수 절차를 진행해봐야 알 수 있다.

식약처는 이 제품들을 제조하거나 수입·유통한 업체에 대해서는 행정처분 및 수사의뢰를 할 계획이다. 해당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들에게는 반품하도록 권고했다.

식약처는 “이번 수거·검사는 최근 크릴 오일 제품이 큰 인기를 끌며 소비가 늘고 있는 만큼 시중에 유통 중인 제품들이 적합하게 제조 됐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또 관계자는 “크릴오일은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일반식품”이라며 “질병 예방·치료 효과 등 의학적·과학적 근거가 없는 허위과대·광고에 현혹되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