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교도소 캡처 가짜” ‘죄 없는’ 교수도 갇혔었다

“디지털교도소 캡처 가짜” ‘죄 없는’ 교수도 갇혔었다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0-09-08 22:32
업데이트 2020-09-09 04: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결백 밝혀낸 채정호 가톨릭의대 교수
“죽으라 전화하자 선동에 그대로 따라”

채정호 가톨릭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채정호 가톨릭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XXX야, 죽어’ 소리치는 전화가 한밤중에도 20통 넘게 와요. 섬뜩했어요.”

채정호 가톨릭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두 달 넘게 악몽 같은 나날을 보냈다. 성범죄자 등의 신상정보를 임의로 공개하는 웹사이트 ‘디지털 교도소’에 ‘수감’된 이후였다. 디지털 교도소는 지난 6월 말 채 교수가 텔레그램을 통해 성착취물 구매를 시도했다며 그의 사진과 직장, 전화번호 등을 낱낱이 공개했다. 채 교수는 8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디지털 교도소가 ‘이 사람 죽으라고 전화합시다’라고 선동하니까 사람들이 그대로 따라 한 거죠”라고 말했다.

디지털 교도소는 조작된 것으로 보이는 텔레그램 대화내용 캡처를 들이대며 채 교수를 몰아세웠다. 많게는 하루 수백통에 달하는 욕설 문자가 쏟아졌다. 계속 심박수가 오르고 숨이 차서 일을 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사이버 트라우마’였다.

채 교수의 자녀는 친구들에게 “너희 아버지 이런 소문이 돈다”는 말을 들어야 했다. 학회에는 채 교수를 ‘비윤리적 의사’로 모함하는 투서가 들어왔다. 채 교수는 “몇 년 전 치료한 환자가 ‘실망감에 우울증이 심해졌다’고 했을 때 마음이 아팠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채 교수는 디지털 교도소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고 스스로 휴대전화를 경찰에 제출한 뒤에야 누명을 벗을 수 있었다.

대구지방경찰청은 지난달 31일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윤리위원회에 보낸 공문에서 “복원한 삭제 내역을 포함해 채 교수의 휴대전화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 교도소에 게재된 것과 같은 대화내용이 존재하지 않고, 고의로 삭제한 것으로 보이는 대화나 사진 등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문자 작성 습관을 비교했을 때 디지털 교도소가 제시한 증거 대화 당사자는 채 교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결론 내렸다. 채 교수는 사적 복수를 중단해 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국민 스스로 법치 국가의 삶을 포기하면 조폭을 믿자는 것”이라면서 “악질적으로 문자와 전화를 한 사람들에 대한 법적 대응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디지털 교도소 사이트는 접속이 중단된 상태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20-09-09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