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버스 기사들 “개천절 상경집회 버스 운행 거부”

전세버스 기사들 “개천절 상경집회 버스 운행 거부”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9-17 12:58
업데이트 2020-09-17 1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8월 15일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사랑제일교회와 대한민국바로세우기 국민운동본부 등 주최로 열린 정부와 여당 규탄 집회 참가자들이 세종대로를 가득 메운 모습. 연합뉴스
지난 8월 15일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사랑제일교회와 대한민국바로세우기 국민운동본부 등 주최로 열린 정부와 여당 규탄 집회 참가자들이 세종대로를 가득 메운 모습. 연합뉴스
민주노총 산하 ‘전세버스’ 노조도 출범


10월 3일 개천절 보수단체들이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집회를 개최할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전세버스 기사들로 이뤄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노조가 운행 거부를 선언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세버스연대지부는 17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확산 저지라는 국민적 요구에 동참하기 위해 개천절·한글날 상경 집회 운행을 전면 거부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온 국민이 막대한 고통을 받으며 사회적 거리두기에 자발적으로 동참하는 지금 일부 극우단체가 개천절 서울 집회를 다시 개최한다고 한다”며 “국민과 함께 이를 규탄하며 더 많은 전세버스 노동자들이 운행 거부 선언에 동참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전세버스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을 공식 창립했다.

노조는 “화물·중장비·택시·택배·배달 등 모든 운송 노동자들이 자신의 조직을 갖고 노동3권의 주체로 투쟁해왔지만 전세버스만은 그렇지 않았다”며 “코로나19로 관광업계는 파탄 직전이고 전세버스는 70% 이상 운행이 중단돼 기사들이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기사가 개인 소유의 버스를 운수회사에 등록한 뒤 회사로부터 일감과 보수를 받는 지입제를 양성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에 따르면 전세버스의 약 70%가 지입제로 운행되고 있다. 아울러 차령 연한을 최장 11년으로 제한하는 현행 법령을 개선해야 한다는 등의 요구도 내놨다.

허이재 지부장은 “차 한 대로 먹고 사는 기사들이 모두 길바닥에 나앉게 생겼다”며 “국토교통부가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