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익, “처절하게 복수하겠다”는 양계협회에 “北 대남 비방성명이냐”

황교익, “처절하게 복수하겠다”는 양계협회에 “北 대남 비방성명이냐”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1-11-24 09:05
업데이트 2021-11-24 09: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  연합뉴스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
연합뉴스
대한양계협회가 “한국 치킨은 맛이 없고 비싸다”는 주장을 펼친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씨를 겨냥해 ‘오만방자’, ‘무지’ 등 원색적인 표현으로 비판한 성명을 내놓은 가운데, 황씨가 “크고 싼 치킨을 달라는게 이처럼 비난 받을 일이냐”고 반박했다.

황씨는 지난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한양계협회의 성명을 봤다”면서 “사실 관계에 대한 설명은 없고, 저에 대한 인신공격과 협박의 말만 쏟아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게 한다고 해서 한국의 육계가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작다는 사실이 숨겨지지 않는다”고 지적한 뒤 “또 그 작은 닭이 맛없고 비경제적이라는 과학적 사실이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황씨는 “한국 서민에게 치킨은 하루 일을 끝내고 먹는 만찬이다. 서민을 위해 세계인이 먹는 수준의 크고 싼 치킨을 달라는 것이 이처럼 비난을 받을 일인지 이해할 수가 없다”면서 “저와 똑같이 한국의 작은 닭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 농촌진흥청과 국립축산과학원에 대해서도 비난의 성명을 내어보시기 바란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황씨는 곧이어 올린 다른 글에서도 “제가 제시하는 아래의 지료는 농촌진흥청 발행 ‘육계경영관리’”라면서 “작은 닭은 30일령 1.5kg, 대형 육계는 40일령 2.8kg다. 큰 닭이 맛있고 경제적임을 설명하고 있다”고도 전했다.

아울러 황씨는 “한국인에게는 40여일령 3kg 내외의 육계가 주어진 적이 없다”면서 “3kg 육계로 튀겨진 치킨이 소비자의 선택을 얻기 위해 시장에 나온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황씨는 “시장에 나온 적도 없는 치킨에 비교해 1.5kg 치킨을 소비자가 선택했다고 말하는 것은 논리가 맞지 않는다”면서 “3kg 육계를 내놓기나 하고 그런 말을 하기 바란다. 대한양계협회는 농촌진흥청이 발표한 이 내용에 대해 의견을 내놓기 바란다”고 밝혔다.

제시한 자료에서 황씨는 ‘작은 닭 생산의 문제점 - 맛없는 닭고기가 생산됨’, ‘대형육계 생산의 이점 - 생산비 20% 수준 절감’, ‘감칠맛 나는 핵산물질이노산 함량이 일반 닭에 비해 대형 닭이 많음’ 등 내용에 대해 강조 표시를 했다.

이와 함께 황씨는 또 다른 글에서는 양계협회의 성명을 옮긴 뒤 “북한의 대남 비방 성명인 줄 알겠다”고도 했다.
황교익 페이스북 캡처
황교익 페이스북 캡처
한편 앞서 사단법인 대한양계협회는 지난 22일 ‘맛칼럼니스트 황교익의 치킨 폄훼 내용과 관련하여’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협회는 “일이 잘 안 풀리면 애꿎은데 화풀이한다지만 이건 너무나 황당하고 어이가 없어 도저히 그냥 넘길 수가 없다”며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가슴에 대못을 박음과 동시에, 치킨 소비 감소를 유도한 결과가 어떠할지는 충분히 예상할 거라 생각한다”고 분노했다.

양계협회는 ‘오만방자’, 무지‘, ’썩어빠진 사상‘ 등 원색적인 비난도 감추지 않았다.

협회는 “부자는 치킨을 안 먹는다? 음식에 계급이 있다? 어떤 근거로 헛소리를 하는지 이유나 알고 싶다”면서 “그야말로 지극히 개인적인 썩어빠진 사상으로 양극화를 부추기고 그 비유를 덧대어 치킨 소비에다 갖다 붙이는 정신세계는 어디서 온 건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또 “이유 없이 건드리고 반응 없으면 물어 뜯는 추악함이 당신의 천성인지는 모르겠으나 그에 대한 대가는 반드시 치르게 하는 것이 인지상정 아니겠는가”라면서 “작은 닭이 맛이 없다고 비아냥 거리는데 (그 크기가)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라는 것은 왜 그 잘난 입으로 말하지 않는 건지 변명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어 “황교익 당신은 당신이 한 헛소리에 대한 대가를 예측이나 하는 듯 이후 일어날 일들에 대해 구구절절이 변명하고 있지만 이미 없질러진 물은 주워 담을 수 없다”면서 “자신이 뭐라도 되는 양 망각하고 더 이상 망언을 이어간다면 그 결과는 누구도 장담하지 못한다”고 경고했다.

이와 함께 “최소한의 양심이라도 있다면 닭고기 관련 종사자들과 단순 무지의 개인적 견해를 사실인 양 퍼뜨려 혼선을 빚게 한 소비자에게 머리 숙여 사죄하라”며 “경고에도 불구하고 행위가 지속될 경우 우리 닭고기 산업 종사자는 실현 가능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처절하게 복수할 것임을 천명한다”고 강조했다.
김민지 기자 ming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