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하락

코로나19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하락

박찬구 기자
입력 2021-11-26 11:18
업데이트 2021-11-26 1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식품의약품안전처, 지난해 70.3점
2017년 조사당시 73.3점보다 낮아져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
안전교육과 영양관리에 어려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연합뉴스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의 식생활 안전과 영양 관리 수준이 예년에 비해 다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어린이의 식생활 안전 지수는 70.3점으로 2017년 조사 당시 73.3점에 비해 하락했다. 이 기간 안전 분야는 32.4점에서 33.5점으로 나아졌으나, 영양과 인지·실천 분야에서는 점수가 낮아졌다. 영양분야는 26.3점에서 22.9점, 인지·실천 분야는 14.6점에서 13.9점으로 각각 감소했다.

식약처는 “어린이 급식시설 전수 점검 등으로 식생활 안전관리가 강화된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안전 교육과 지도 업무 등에 한계가 있어 영양 관리가 어려워지고 어린이들의 실천 수준이 하락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특히 인지·실천 분야에서는 비대면 수업 등으로 학교 우유급식이 축소되면서 흰 우유 섭취가 줄었고 불규칙한 생활방식으로 아침식사 섭취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안전 분야 점수가 높아진 배경으로 식약처는 지난해 6월 안산 유치원 집단 식중독 발생 이후 각 지자체가 어린이 급식시설 전수 점검 체계를 도입해 점검을 강화한 점을 꼽았다. 어린이급식관리 지원센터의 위생관리 지원을 받는 급식소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식약처는 “지역별로는 농어촌이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비해 안전지수 하락폭이 컸다”면서 “농어촌 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영양·안전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식생활 안전지수는 228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3년 마다 조사, 평가한다. 그 결과는 어린이 식생활 안전 관리를 위한 중앙·지방정부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평가 사항은 식생활 안전(40점), 식생활 영양(40점), 식생활 인지·실천 수준(20점)으로 3개분야 29개 항목이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