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시설 피해 없어…잔불진화·뒷불감시 체제
산불 주민이 낙엽 태우다 발생해
양구 야간 산불대응 10일 오후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송청리에서 산불이 발생, 소방대원들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2022.4.11 강원도소방본부 제공
강원 양구 산불이 발생 사흘 만인 12일 주불이 잡혔다.
산림 당국은 이날 오전 9시쯤 주불진화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오후 3시 40분쯤 불이 발생한 지 ‘41시간 20분’ 만이다.
양구읍 송청리에서 시작된 산불은 죽곡리, 황간리, 송우리, 청리, 용하리, 야촌리, 가오작리 등 8개 리로 번져 산림 총 720㏊(720만㎡)가 소실됐다.
양구에서 발생한 산불 중 가장 큰 피해 규모로, 축구장 면적(0.714㏊)으로 따지면 1008배에 달한다. 인명과 시설 전소 등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산불은 주민이 낙엽을 태우다가 발생했다.
당국은 지난 11일 오전에는 짙은 연무로 헬기를 제때 투입하지 못했고, 오후에는 강풍으로 불씨가 되살아나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최병암 산림청장이 12일 오전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산불현장통합지휘본부에서 주불 진화 완료 선언을 하고 있다. 2022.4.12 연합뉴스
주불진화는 마쳤으나 피해구역이 넓어 숨은 불씨를 완전히 제거하는 데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현장에 헬기 12대와 야간 열화상 드론 3대를 대기시키고, 산불전문진화대원과 감시원 등을 배치해 잔불진화와 뒷불감시를 이어갈 계획이다.
최병암 산림청장은 “이번 산불로 양구 주민들께 걱정을 끼쳐 죄송하다”며 “신속한 복구를 통해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고, 예전보다 더 푸르고 울창한 산림으로 되돌리고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대응에 있어서 산림청은 산불의 신속한 진화체계 구축과 함께 예방대책도 강화해나가며, 특히 산불 방화·실화자에 대해 엄중히 처벌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산불 주민이 낙엽 태우다 발생해

양구 야간 산불대응
10일 오후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송청리에서 산불이 발생, 소방대원들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2022.4.11 강원도소방본부 제공
산림 당국은 이날 오전 9시쯤 주불진화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오후 3시 40분쯤 불이 발생한 지 ‘41시간 20분’ 만이다.
양구읍 송청리에서 시작된 산불은 죽곡리, 황간리, 송우리, 청리, 용하리, 야촌리, 가오작리 등 8개 리로 번져 산림 총 720㏊(720만㎡)가 소실됐다.
양구에서 발생한 산불 중 가장 큰 피해 규모로, 축구장 면적(0.714㏊)으로 따지면 1008배에 달한다. 인명과 시설 전소 등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산불은 주민이 낙엽을 태우다가 발생했다.
당국은 지난 11일 오전에는 짙은 연무로 헬기를 제때 투입하지 못했고, 오후에는 강풍으로 불씨가 되살아나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최병암 산림청장이 12일 오전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산불현장통합지휘본부에서 주불 진화 완료 선언을 하고 있다. 2022.4.12 연합뉴스
최병암 산림청장은 “이번 산불로 양구 주민들께 걱정을 끼쳐 죄송하다”며 “신속한 복구를 통해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고, 예전보다 더 푸르고 울창한 산림으로 되돌리고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대응에 있어서 산림청은 산불의 신속한 진화체계 구축과 함께 예방대책도 강화해나가며, 특히 산불 방화·실화자에 대해 엄중히 처벌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