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언제 결혼할래” 잔소리가 오히려 역효과

“언제 결혼할래” 잔소리가 오히려 역효과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3-02-22 18:09
업데이트 2023-02-23 00: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래와 인구전략포럼

부모에게 결혼 독촉받았을 때
10명 중 3명 “더 하기 싫어졌다”
“성인으로 여기는 시기 늦어져”

이미지 확대
결혼식 이미지(위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신문 DB
결혼식 이미지(위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신문 DB
“너 언제 결혼할 거니.” 명절 단골 잔소리인 결혼 독촉이 되레 결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최슬기 교수는 2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1차 미래와 인구전략포럼에서 “대다수의 청년에게 결혼과 출산은 절대적 규범이 아닌 선택의 문제”라며 “정부가 나서서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고 계도하기보다는, 자녀를 갖는 것이 개인의 합리적 선택이 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과 실질적 지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가 지난해 6월, 24∼49세 미혼 남녀 834명(남성 458명, 여성 37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인의 가족 및 결혼 가치관 조사’에 따르면 부모·가족·지인으로부터 결혼하라는 독촉이나 권유를 받았을 때 ‘더 하기 싫어졌다’(26.6%)는 응답이 ‘빨리 해야겠다고 생각했다’(12.3%)는 응답보다 2배 이상 많았다. 61.0%는 ‘생각에 변화가 없었다’고 답했다.

‘이 정도 나이면 결혼해야 한다’는 결혼 적령기 규정도 역효과를 냈다. 사회에서 정한 결혼 적령기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해당 적령기를 넘긴 여성의 결혼 의향(48.4%)은 적령기 이전(64.7%)보다 낮아졌다. 남성의 결혼 의향은 적령기 전 69.8%, 적령기 후 71.7%로 별 차이가 없었다. 여성이 규범화된 결혼 적령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 정도 나이에는 결혼을 해야겠다’고 스스로 결혼 적령기를 정한 경우 적령기를 넘기더라도 결혼 의향이 유지됐다. 여성은 적령기 전 43.1%에서 적령기 후 56.3%, 남성은 70.5%에서 80.7%로 오히려 높아졌다. 사회적 규범과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자신의 결혼 시기를 설정한 이들이 결혼에도 더 적극적이었다.

2018년 이후 합계출산율은 1.0명 이하로 떨어졌지만, 미혼 응답자들이 답한 이상적인 자녀 수는 평균 1.96명이었다. 최 교수는 “아이를 원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원하는 만큼 출산을 하지 못하는 상태”라면서 “저출산 문제는 청년세대의 비명소리로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발제자인 유민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스스로 어른이 됐다고 생각하는 ‘성인 인지 시기’가 늦어진 것이 결혼과 출산을 늦추는 요인이라고 봤다. 조사 결과 28세(1994년생)가 돼서야 ‘얼마나 자주 성인이 됐다고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 절반 이상이 ‘자주 느낌’, ‘항상 느낌’이라고 답했다.

그는 “저출산 정책으로 개인의 인식을 변화시키려고 하기보다는 개인이 삶의 지향을 선택하고 실현해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자립 지원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2023-02-23 5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